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2 SNUAC WEEKLY (10월 넷째 주)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FEATURES THIS WEEK

[한겨례] “아이들이 왜 자유 없이 살아야 하죠?”…마리얌은 울면서도 외친다

f73_0002610833_001_20221019094703893‌

구기연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9월 16일(현지 시각)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도덕경찰에게 붙잡힌 22살 마흐사 아미니가 사망했다. 아미니의 진료기록을 본 의사들이 구타를 당해 숨졌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이란 여성들은 분노했다. 다음날부터 “여성, 생명, 자유”를 외치는 이란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고 시위는 한 달째로 접어들었다. 그 사이 사망자는 2백명을 넘어섰고, 중고등학생부터 1979년 이슬람 혁명을 경험한 세대까지 거리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왜 용맹한 사자처럼 시위를 지속하고 있는가. 이란 청년 세대를 연구해온 구기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가 시위 참여자들에게 질문을 던졌다. 거리에 나선 ‘테헤란 사자들’이 답한다.

Read More

[한국일보] 논담 - “정치 된 히잡... BTS 즐기는 청년층이 시위 주도”

‌ f82_0000703126_002_20221020160104292

구기연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디지털 세대인 10, 20대에게 히잡 강요 같은 이슬람 교육은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에게 한국전쟁 이야기를 하는 것과 같다. 10대들이 BTS, 블랙핑크를 얼마나 좋아하고 외국 드라마를 즐겨 보는데 학교만 가면 머리카락은 위험한 것이라 하고 여자는 노래하면 안 된다니 말이 되나. 이런 교육을 아예 받아들이지 못한다. 20대는 취업에 대한 불만이 결부돼 있다. 열심히 공부해도 특권층만 쉽게 입학하고 대학을 졸업해도 직장이 없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다. 자유가 제약됐다는 불만은 남녀가 마찬가지다. 남성도 의복 규제가 있고 종교경찰의 단속을 당한다. 그러니 젊은 남성들이 ‘아미니는 나의 누이이고 너의 누이’라며 동참한다. 모두가 억압적인 이슬람 정권의 희생자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Read More
ASIA BRIEF

아시아 주요국의 경제 안보(3) 일본의 경제안보 전략: 경제책략과 공급망 강화책을 중심으로

김규판 (대외정책경제연구원)

한 국가의 경제책략 수단은 대상 국가와 시대 상황에 따라 다르기 마련인데, 일본은 아베내각 이후 수출통제, 수입금지, 외국인투자 규제, 정부조달 금지 조치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의 수출통제 제도는 리스트 규제와 캐치올(catch-all) 규제가 주력 수단이다. 리스트 규제는 바세나르 협정의 합의에 기초한 것으로서, 대량살상무기나 통상무기 개발 등 군사전용 가능성이 높은 전략물자에 대해 일본정부가 수출을 통제하는 제도이다. 미국 상무부 BIS(Bureau of Industry and Security)의 CCL(Commercial Control List)과 유사하다. 리스트 규제는 수출대상국이 선진국이더라도 경제산업성 장관의 ‘개별허가’를 요한다. 다만, 외환법 수출무역관리령(시행령) 제4조에 의해, 화이트국가인 A그룹의 26개국에 대한 수출은 허가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2019년 7월 일본의 대한(對韓) 수출통제는 외환법 관련 통달을 개정하여, 불화수소, EUV(극자외선)용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3개 품목의 대한(對韓) 수출 및 이들 품목과 관련되는 제조기술의 이전에 대해, 포괄수출허가제도의 대상에서 제외하고, 개별 수출허가제도로 전환하였다. 그 해 8월에는 한국을 화이트국가에서 배제하였다. 일본은 아직도 한국을 화이트국가로 복원하지 않은 채, 포토레지스트(EUV용)에 대해서만 특정포괄허가로 완화한 상태이다. 참고로 캐치올 규제는 리스트규제의 수출통제를 받지 않는 품목이더라도 수출하고자 하는 화물이나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 대량살상무기 또는 통상무기의 개발, 제조, 사용 또는 저장에 사용될 우려가 있음을 수출업자가 인지하고 있는 경우 내지는 경제산업성 장관으로부터 수출 허가신청을 요구받은 경우, 수출허가를 요하는 제도이다.

Read More
EVENT REVIEWS

[아시아연구소 브라운백세미나] 북한 핵실험 이후 중국-북한 관계

수정1‌

북한의 핵실험 이후 중-북 관계는 어떻게 달라졌는가? 특히 중국과 북한의 경제 협력이 두 나라 간의 대외정책 및 북한 핵개발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이번 브라운백 세미나에서 지해범 박사(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는 좋았다가도 어느 순간 악화되기도 하며, 국경 지역의 수많은 밀수와 거래로 연결망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중국과 북한의 관계에 대해 다뤘다. 발표자는 특히 중국과 북한의 경제 협력을 중심으로 중-북 관계를 연구해왔는데, 두 나라 간의 경제 협력과 북한 핵실험에 대한 중국의 대응이 지금껏 “혈맹 관계”라고도 불렸던 중-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았다.

Read More

[시민사회 프로그램] '지역사회 먹거리 돌봄'의 활성화 과제 - 먹거리 돌봄과 지역 먹거리 전략의 연계

‌ 수정1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 프로그램은 아시아 시민사회 워크숍의 5번째 순서로 전북연구원의 황영모 연구위원을 초청해 「‘지역사회 먹거리 돌봄’의 활성화 과제 – 먹거리 돌봄과 지역 먹거리 전략의 연계」를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조원지 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이 토론을 맡아 주셨으며, 황영모 연구위원이 먼저 발표를 해주신 후 조원지 연구위원 및 다른 참석자들의 질문으로 토론 세션이 이어졌다.

Read More

[다양성+Asia] "여기에 우리를 위한 공간은 없다!": 아시아의 성소수자 - 근현대 일본 트랜스젠더의 여러 얼굴

수정1‌

10월 19일 진행된 <아시아의 성소수자> 특별강연 시리즈의 세번째 강연에서 조수미 명지대학교 교수는 “근현대 일본 트랜스젠더의 여러 얼굴”을 주제로 일본 트랜스젠더의 역사를 개괄하고 현대 일본의 트랜스젠더들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 발표하였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221025_poster

[아시아-아프리카센터] 10월 서울대 아프리카 세미나

일시: 2022년 10월 25일(화) 12:00-13: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Read More
20221025_poster

[한류연구센터] CHS 100분 토크 22-6

일시: 2022년 10월 25일(화) 12:00-13:40
※ 온라인 Zoom 진행
(사전 신청 링크: https://forms.gle/pEEcDC8Zq8NEg9mA8)

Read More
제3회-덩실덩실-AsIA문화축제-포스터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AsIA지역인문학센터] 2022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아제르바이잔 - 불의 나라

일시: 2022년 10월 25일(화) 13:30~2022년 10월 26일(수) 17: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210호)
※ 온라인, 오프라인 동시 진행
(참가링크: https://www.youtube.com/snuachklhc)

Read More
20221026_poster

[베트남센터]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 East Asia Revisited from Korean and Vietnamese Perspectives

일시: 2022년 10월 26일(수) 13:00-18: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삼익홀(220호)

Read More
20221026_poster

[아시아지역정보센터] ASEAN 데이터와 활용 방안

일시: 2022년 10월 26일(수) 14:00-16: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4호

Read More
포스터아시아의-성소수자-5주간-시리즈-강연

[다양성+Asia] "여기에 우리를 위한 공간은 없다!": 아시아의 성소수자 - 남성도 여성도 아닌, 제3의 성: 남아시아의 성 소수자 히즈라

일시: 2022년 10월 26일(수) 17:00-18:30
※ 온라인 Zoom 진행
(https://forms.gle/bkFLVvxhS2bJ2FGt8)

Read More
미래지구1027

[미래지구프로그램] Mix and Mingle for Future Earth: 쉽게 소통하는 전통지식과 복잡계 사고

일시: 2022년 10월 27일(목) 12:00-13: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4호
(사전 신청 링크: https://forms.gle/rzxxGnyDUCYZCkd28)

Read More
22021028_poster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서아시아센터] 이슬람 문화체험 - 한국이슬람교 서울중앙성원 방문

일시: 2022년 10월 28일(금) 11:00-15:00
장소: 한국이슬람교 서울중앙성원

Read More
221031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제1회 아시아 도시전문가 협력 컨퍼런스

일시: 2022년 10월 31일(월) 10:00-18:00
장소: 수원컨벤션센터
※ 온라인, 오프라인 동시 진행

Read More
20221102_poster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International Book Symposium on Empire and Righteous Nation: 600 Years of China-Korea Relations by Professor Odd Arne Westad

일시: 2022년 11월 02일(수) 09:00-11: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삼익홀(220호)
※ 온라인 Zoom, 오프라인 동시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6131007131?pwd=NFh3TDZUN1RYZVdLbGNrVlNUa3BwZz09)

Read More
221102_poster

[아시아연구소] 제2회 학위논문상 수상자 포럼

일시: 2022년 11월 02일(수) 16:00-17:2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삼익홀(220호)
※ 온라인 Zoom, 오프라인 동시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1821411351?pwd=d2JmcVZYejlwSDh1VnFscDdrMTVPUT09)

Read More
포스터아시아의-성소수자-5주간-시리즈-강연

[다양성+Asia] "여기에 우리를 위한 공간은 없다!": 아시아의 성소수자 - 편견과 혐오의 물결에 직면한 인도네시아 성소수자

일시: 2022년 11월 02일(수) 17:00-18:30
※ 온라인 Zoom 진행
(https://forms.gle/bkFLVvxhS2bJ2FGt8)

Read More
221108_poster

[아시아-아프리카센터] 11월 서울대 아프리카 세미나

일시: 2022년 11월 08일(화) 12:00-13: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Read More
문턱의-청년들_포스터

[아시아연구소] 한국과 중국, 마주침의 현장

일시: 2022년 11월 08일(화) 16:00-18: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20호

Read More
20221109_poster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서아시아센터] Religious and worldview education in Finland

일시: 2022년 11월 09일(수) 17:00-18:30
※ 온라인 Zoom 진행
(https://snu-ac-kr.zoom.us/j/92601527348)

Read More
20221122_poster

[시민사회 프로그램] Democracy Movements in Hong Kong: New Challenges Ahead

일시: 2022년 11월 22일(화) 14:00-16:00
※ 온라인 Zoom 진행

Read More
20221129_poster

[한류연구센터] CHS 100분 토크 22-7

일시: 2022년 11월 29일(화) 12:00-13:40
※ 온라인 Zoom 진행
(사전 신청 링크: https://forms.gle/1JcXnkQ1SSGLPfEh6)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