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2 SNUAC WEEKLY (11월 둘째 주)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banner1-2-1
FEATURES THIS WEEK

[연합뉴스] 서울대 아시아硏, 한·칠레 수교 60주년 학술행사

‌ PCM20191011000076990_P4_20221103105107638

서울대 아시아연구소는 이달 24일 서울 성동구 '카페 스밍 스튜디오'에서 한국과 칠레의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학술 행사를 연다. 민원정 칠레 가톨릭대 교수 등 전문가들이 경제·환경·문화 등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발표하고, 두 나라 대학생들이 양국 관계의 미래상에 관해 토론한다. 행사는 외교부, 서울대 라틴아메리카연구소, 칠레가톨릭대 아시아연구소, 극지연구소가 공동 주최한다.

Read More

[KBS 세계는지금] 美 중간선거, 공화당 우세 속 트럼프 지지 후보 선전

147988483097_20161124‌

'美 중간선거, 공화당 우세 속 트럼프 지지 후보 선전'

Read More

[세계일보] 세계는지금 - "히잡착용 의무 폐지 넘어 정권붕괴 목표"

‌ 20221105506702

이란 전문가인 구기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는 4일 현재 이란 시위는 히잡 착용 의무 폐지를 뛰어넘어 정권 붕괴를 목표로 타오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란 민중이 이슬람 원리에 입각한 강권 정권이 유지되는 한 히잡착용 의무를 폐지할 리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Read More
ASIA BRIEF
84_1

아시아 도시의 도전과 미래(1)
인도의 도시화와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패러다임

박양호 (전 국토연구원장)

남아시아지역의 중추 국가인 인도는 인구 14억 명에 달하는 인구 대국이며, 국가경제규모 면에서도 2020년 현재 세계 6위의 경제 대국이다. 인도에서는 도시화가 초래하는 경제·사회·환경문제 등이 도시마다 산적해 있고 삶의 질도 취약하며 불균형이 심한 편이다. 인도 전체인구 중에서 도시에 사는 인구의 비중을 나타내는 도시화율은 1961년 17.9%에서 1971년 19.9%, 2001년에 27.8%, 2011년에는 31.2%, 그리고 2020년에는 34.9%로, 인도 도시인구는 4.8억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UN의 세계도시 전망에 의하면, 인도의 도시화율은 2030년에 40.8%로, 도시인구는 6.1억 명으로 늘어나고, 2050년에는 50.3%로서 약 8억 명이 도시에 거주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0에서 2050년까지 인도의 도시인구가 추가로 3억 명 이상이 더 늘어나 도시의 인구수용에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Read More
EVENT REVIEWS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AsIA지역인문학센터] 2022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아제르바이잔 - 불의나라"

수정9‌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AsIA지역인문학센터에서는 2022년 10월 25일 화요일부터 26일 수요일까지 2일간 2022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를 개최하였다. 이번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는 한국연구재단 제17회 인문주간 참여행사인 “포스트 팬데믹시대, 미래를 여는 인문학”이라는 주제로 참여하게 되었다.

Read More

[서아시아센터/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이슬람 문화체험 - 한국이슬람교 서울중앙성원 방문

‌ 수정1

서아시아센터는 2022년 10월 28일 한남동에 위치한 한국이슬람교 중앙성원을 방문하여 이슬람 문화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본 행사에는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서아시아센터 구성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연구연수생, 이슬람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수업을 수강 중인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교의 학생들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인 학생은 물론 이슬람권 국가에서 온 유학생들 또한 참석하여 상호교류를 통해 이슬람 문화에 더욱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Read More

[아시아연구소] 베트남 고전의 활용: <취교전,Truyện Kiều>을 중심으로

수정1‌

한국사회 내에서 베트남에 대한 관심은 주로 경제, 투자, 문화에 쏠릴 때가 많다. 특히 일방적으로 한국의 기업이나 문화를 베트남으로 수출하는 일이 가장 큰 주목을 받곤 한다. 이번 브라운백 세미나의 발표를 맡은 장진(아시아 연구소 방문학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베트남 마케팅연구소장) 교수는 한국-베트남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나”(한국)의 관점으로 “너”(베트남)을 바라보는 시선을 넘어, 베트남인 당사자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무엇을 바라는지 적극적으로 알고 공감하려는 상호간의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발표자는 베트남의 국민 문학으로 알려진 <취교전, Truyện Kiều>를 중심으로 베트남 고전문화 활용의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Read More

[다양성+Asia] "여기에 우리를 위한 공간은 없다!": 아시아의 성소수자 - 편견과 혐오의 물결에 직면한 인도네시아 성소수자

‌ 수정4

11월 2일 진행된 <아시아의 성소수자> 특별강연 시리즈의 세번째 강연에서 이연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여기에 우리를 위한 공간은 없다” 편견과 혐오의 물결에 직면한 인도네시아 성소수자”을 주제로 인도네시아의 성소수자에 대한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20221107_poster1

[남아시아센터] 부와 권력의 비밀, 지도력 (地圖力)과 아시아 를 말하다

일시: 2022년 11월 07일(월) 15:00-16: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406호

Read More
20221108_poster_sw

[아시아연구소] From Liberation Space to Post-Liberation: The Lives and Activities of Two Early North Korean Musicians (1945-1953)

일시: 2022년 11월 08일(화) 12:00-13: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406호

Read More
221108_poster

[아시아-아프리카센터] 11월 서울대 아프리카 세미나

일시: 2022년 11월 08일(화) 12:00-13: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Read More
20221109_poster

[서아시아센터/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Religious and worldview education in Finland

일시: 2022년 11월 09일(수) 17:00-18:30
※ 온라인 Zoom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2601527348)

Read More
20221111_poster

[중앙아시아센터/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흩어진 우크라이나 전쟁 난민을 만나다

일시: 2022년 11월 11일(금) 16:00-18: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 온라인 Zoom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4074805165)

Read More
20221122_poster

[시민사회 프로그램] Democracy Movements in Hong Kong: New Challenges Ahead

일시: 2022년 11월 22일(화) 14:00-16:00
※ 온라인 Zoom 진행

Read More
20221129_poster

[한류연구센터] CHS 100분 토크 22-7

일시: 2022년 11월 29일(화) 12:00-13:40
※ 온라인 Zoom 진행
(사전 신청 링크: https://forms.gle/1JcXnkQ1SSGLPfEh6)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