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셋째 주 (방학 중 WEEKLY는 격주로 발행됩니다)
|
|
|
|
2022년 1월 12일 수요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AsIA지역인문학센터와 국립중앙박물관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2 AsIA인문자산강좌 – 漆, 아시아를 칠하다》가 개강하였다.
|
|
|
|
|
|
|
[2권2호] 특집(2) 설문조사: 2021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설문조사 결과 분석 -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동북아에서 동남아로 인식의 지평 확대
 | |
김용호·김윤호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에 새로운 시대가 오는가”를 대주제로 내걸고 기획한 신년 특집을 위해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의 목적은 한국인들이 아시아의 현실과 장래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 것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인의 아시아 정체성, 아시아 전반에 대한 이미지, 아시아의 여러 지역과 국가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 한국과 주요 국가 간의 관계에 대한 평가, 한국인의 아시아 문화 경험, 아시아의 장래에 대한 전망 등을 조사하였다. 이제 설문조사 결과 중에서 주목할 만한 점을 중심으로 요약 정리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 전반에 걸친 분석은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
|
|
|
|
|
[2권3호] 특집(2) 설문조사+SNS분석: 코로나19로 잠식당한 일상 에도 인권과 국제협력 추구 2021 - 아시아 이슈에 관한 소셜미디어와 설문조사 비교
|
 |
허정원 (아시아연구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는 격랑의 2021년을 마무리하며 아시아 10대 이슈를 정리하였다. 먼저 아시아연구소와 외부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하여 아시아지역의 10대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전문가가 선정한 아시아 10대 이슈에 대한 여론의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와 소셜미디어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리서치에 의뢰하여 아시아연구소와 외부 전문가가 선정한 10대 이슈를 제시하고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각 이슈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빅데이터 분석 기업인 바이브(VAIV)에 의뢰하여 트위터(Twitter)와 신문기사 등 총 40 여 억 건의 자료를 대상으로 전문가 선정 아시아 10대 뉴스와 관련한 반응도를 살펴보고 관련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
|
|
|
|
|
[내일신문] 임현진 칼럼 – 사회대타협이 답이다
[창립소장 임현진 교수(시민사회 프로그램 디렉터)] 임인년 올해 우리는 20대 대선을 치른다. 글로벌 대전환의 도전 아래 모든 국민이 함께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축제로서 선거가 되었으면 한다. 잘 치르면 모든 것을 얻을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것을 잃을 수도 있다. 해방 이후 최악의 진영대립을 넘어 우리가 서로 화합하고 상생하는 새로운 문명의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
|
|
|
|
|
[경향신문] 기후위기로 몸살 앓는 중동
[구기연 HK연구교수(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서아시아센터)] 2021년 11월, ‘세상의 반’이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아름다운 도시, 이란의 이스파한에서 수만명이 참가한 시위가 연속적으로 일어났다. 이스파한 도시를 가로지르며 시민들에게 풍요로운 전경을 선사하고, 식수와 농수로 사용되던 자얀데 루드강은 강바닥이 갈라져 있을 정도로 말라있었다. 바로 그 마른 강바닥에 모여 수천명의 시위대가 정부를 향해 분노의 목소리를 쏟아내었다. 대규모 반정부 시위의 이유는 다름 아닌 ‘물 부족’ 사태 때문이었다.
|
|
|
|
|
|
|
[동남아시아센터] 한국학 안경을 끼고 본 이미지 너머의 동티모르
2021년 2학기 동남아시아센터 전문가 초청강연에서는 동티모르국립대학교 한국학 센터의 최창원 센터장을 모시고 “한국학 안경을 끼고 본 이미지 너머의 동티모르”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최창원 센터장은 이번 강연을 통해 기존에 동티모르에 대한 관심이 적었기 때문에 형성되었던 동티모르에 대한 선입견을 해체하고자 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