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저자: 한새롬(숙명여자대학교)

튀니지는 아랍의 봄 이후 민주화에 성공한 사례로 평가받았지만 최근 권위주의로의 회귀가 심화되고 있다. 2019년 당선된 카이스 사이에드 대통령은 2021년 의회 해산, 국회의원 면책 특권 박탈 및 일련의 급진적 조치를 단행하며 절차적 민주주의를 사실상 무력화했다. 이러한 조치는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았으나, 위로부터(top-down)의 민주주의체제에 대한 실망감 속에서 많은 국민들은 사이에드의 결정을 지지했다. 권위주의 부상에서 국내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 사이에드 집권 초기와 달리 현재 튀니지 민주주의 위기는 외부요인과도 연관되어 있다. 특히 유럽 이민정책의 외부화(externalization)는 주변 북아프리카 국가와 마찬가지로 튀니지 정부가 경제·사회 개혁에 실패하며 국민들의 신뢰를 잃고 있던 시점에서 정치적 정당성을 유지 강화하는 데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고있다.

저자: 성기완(시인·음악가/계원예술대학교)

이 글에서 필자는 2008년 가을 서아프리카 말리 등지로 떠난 음악여행을 통해 개인적으로 체험한 바를 토대로 아프리카 대중음악의 본질과 그 세계적 전파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프리카 음악이 비트(beat) 단위의 프로토콜을 지닌 ‘아프로 모듈’로 변환되면서 전 세계의 대중음악을 하나로 연결하는 일종의 ‘공유 플랫폼’으로 구동되고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저자:

아프리카는 B.C. 36억 년 전 지구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대륙이다. 또한, 인류의 기원에 대한 가장 지배적인 견해인 ‘아프리카 기원설’의 공간이기도 하다. 인류학적, 세계사의 지정학적 관점에서 아프리카 지역의 설화, 즉 신화, 전설, 민담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은 아프리카와 이곳에 살았던 인종과 민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익하다.

저자:

기후 변화는 인간의 이동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한 대부분의 이동은 국경 내에서 일어난다. 기후 변화와 관련된 이동은 주로 영구적이지 않으며, 특히 농촌 지역에서 도시로의 이동이 주를 이룬다. 과거에는 대규모 기후 난민 발생에 대한 경고가 많았으나, 현재는 이러한 이동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요인을 포함한 다차원적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저자:

전세계에서 언어다양성이 가장 높은 대륙 아프리카를 종족정체성, 식민주의라는 열쇠어를 통해 그 다양성이 내재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구체적, 대표적 예시를 통해 설명한다. 식민통치는 아프리카의 언어상황에 영향을 미쳤으며, 언어는 종족정체성과 불가분의 관계를 이룬다. 언어를 통해 강화된 종족정체성은 정치적 도구화, 분쟁과 갈등 유발로 이어질 수 있다.

저자:

전 세계가 민주주의의 퇴행과 권위주의의 확장을 우려하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 내 민주주의 현황은 어떨까? 이 글은 최근 아프리카 지역에서 이루어진 케냐와 나이지리아 대통령 선거와 수단과 가봉에서 발생한 쿠데타를 소개하고 현재 아프리카 국가들이 마주한 민주화 이슈를 평가한다. 이 지역에서 경쟁적 선거가 지속적으로 이어짐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신생민주주의 국가들이 자유민주주의 체제로 진전되지 못하고 선거민주주의 체제에 머무르거나, 오히려 그보다 후퇴하여 경쟁적 권위주의체제로 전환하고 있다. 아프리카 정치 엘리트들은 선거를 자신의 통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저자:

여성에 대한 차별과 폭력의 원인을 전통과 인습, 가족이라는 테두리에서 사회-경제적, 생태적 요인에 있다. 사헬 지역은 서아프리카 모리타니아에서 동부의 에리트리아까지 사하라사막 경계의 반건조지대로, 이 지역은 가뭄, 이슬람 극단주의세력의 준동으로 아프리카에서도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손꼽힌다.

2018년 르완다에서 개최된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 비즈니스 포럼
출처: https://www.flickr.com/photos/paulkagame/39107668010/in/album-72157692922230481/
저자:

2021년 1월,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가 공식 발효되었다. AfCFTA는 기존 지역경제공동체(REC)가 가진 한계를 넘어 아프리카 대륙 내 교역 확대를 통한 경제 성장, 산업 발전, 경제적 통합을 달성하고자 한다. 완전한 작동을 위하여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협상 및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춤추는 상고마
출처: 저자 촬영
저자:

아프리카인은 종교적이다. 아프리카인이 종교적인 이유는 신앙이 이들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신앙이 아프리카인의 일상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유는 아프리카인이 신앙을 통해 치유를 갈망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일상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불행과 질병을 신앙의 힘을 빌어 해결하려 한다.

파업에 참가한 철도 노동자들이 시위대를 수도 하르툼으로 실어 나르고 있다
출처: Abbasher
저자:

2019년 4월, 대통령 오마르 알바시르를 몰아낸 수단의 혁명은 아직 현재 진행형이다. 2022년 10월 군부는 다시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했지만, 아직도 수도 하르툼을 비롯해 수단 곳곳에서 군부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수단의 반정부 운동은 단순히 군부 독재 뿐만 아니라, 수단 사회가 오랫동안 겪어온 뿌리깊은 문제들에 정면으로 도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