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중앙아 5개국이 소련으로부터 독립하자 급선무는 국경선을 조기에 획정하는 것이었다. 지난 30년간 협상한 결과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은 국경선을 획정하였으나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3국은 이견으로 국경선을 획정하지 못했다. 영토 문제는 매우 민감한 사안으로서 외부 개입으로 해결이 어려운 만큼 앞으로 국경 획정을 위해서는 당사국 간의 협상을 통한 해결이 최적의 방안이다. 국제사회는 당사국이 무력 충돌을 자제하고 평화적으로 국경선을 획정하도록 계속 지원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공개된 중앙아시아 영화 중 필자가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작품들을 선별하여 소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영화 제작이 금지되었던 투르크메니스탄을 제외한 중앙아시아 4개국 영화의 주요 작품들을 나라별로 3편씩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소개된 중앙아시아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는 ‘가족’이며, 이외에 국가별로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시베리아 에벤족은 시베리아 고대 만주퉁구스어족 민족의 하나로 자신들의 자연환경 속에서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 왔다. 그들에게는 성스러운 동물에 대한 관념이 있으며 그 동물에 대한 숭배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새 숭배는 에벤족의 신화체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새 숭배 모티프는 에벤족의 설화에서 자주 나타난다.
고려인들은 일반적으로 민족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는 전통 종교와 언어를 소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지금까지 강한 민족정체성을 유지해 왔다. 이들이 민족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요소 중 하나는 전통 생활문화를 지켜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장례문화이다.
서구 국가들의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 이후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타국 상품의 우회수출 통로가 되면서 큰 호황을 맞고 있다.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의 경우 전자기기, 자동차 부품 등의 對러 수출이 제재 이전에 비해 수백 배까지 확대되었다. 서구 국가들은 이를 통제하고자 하나 아직 구체적인 해결책은 나오지 않고 있으며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러시아에서 이탈한 외국 기업을 자국으로 유치하는 방식으로 러시아에 대한 수출 기반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교역 메커니즘은 장기적으로 이들 국가의 제조업 경쟁력 개선과 EAEU 틀 내에서의 합의된 규정 등이 기반이 되어야 지속성을 가질 것이다.
소련의 해체로 독립한, 러시아연방 외 14개국은 모두 토착주도민족의 명칭을 국명으로 정하고 이들의 모어를 국어로 정하면서 소비에트의 잔재를 없애고 탈 러시아화의 상징적인 조치로 표기체의 전환을 추진해왔다. 특히 남캅카스의 아제르바이잔과 중앙아시아의 5개국은 과거 아랍문자를 사용하다가 소련 초기 라틴문자, 1930년대 중반 이후 키릴로 교체되어 50년 동안 쓰였지만, 1991년 독립과 함께 아제르바이잔을 선두로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이 라틴으로 전환했고 카자흐스탄은 2025년이 전환 목표 연도이다. 그러나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은 공식적으로 전환 계획이 아직 없다.
중앙아시아 고려인 한글문학은 연해주 일대 고려인들이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강제이주 이듬해 필화사건이 일어나 고려인 한글문학은 매우 부자유하게 전개됐으나 1938년에 창간된 모국어신문 《레닌기치》 문예페이지를 통해 1980년대까지 크게 번성했다.
이 글은 중앙아시아 이슬람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즉 극단주의 이슬람인가? 전통적, 관습의 이슬람인가? 라는 주제로 구성되었다. 특히 중앙아시아에서 이슬람 신정국가를 주장하는 이념으로 작동했던 1990년대, 2000년대 이슬람 원리주의는 중앙아시아 지역권의 전통적 이슬람보다 수용적이지 못했다.
중앙아시아의 튀르크 민족 국가들은 튀르크 국가 기구(Organization of Turkic States)를 조직하여 협력과 연대를 강화하고 있다.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과 중앙아시아 튀르크 국가들은 튀르크 국가기구를 통해 경제, 문화, 사회 전반의 협력을 약속하였다. 19세기 튀르크 민족들의 연대를 주장하는 범튀르크주의가 다시 부활한 것이다.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중앙아시아 노동자들에게 새로운 도전을 제기했다. 특히 러시아에서 일하는 중앙아시아 출신 이주노동자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 문제는 이들의 상황이 개인 차원에서 벗어나 국가 차원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되고 있는 현재 중앙아시아 출신의 이주노동자는 이미 본국으로 귀국하고 있으며, 러시아에 남아있는 자들은 여전히 힘든 상황에 처해 있다. 러시아 정부는 중앙아시아 출신 이주노동자들에게 시민권을 주고 전선에 투입하고 있다.
신보람(전북대학교) 국제 NGO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앙아시아의 성소수자들이 처한 현실은 암울하기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