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4 SNUAC WEEKLY (7월 첫째 주)
방학 중 WEEKLY는 격주로 발행됩니다.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FEATURES THIS WEEK
240703_poster

[한국대학신문] 베트남 팜 민 찐 총리,
7월 3일 서울대에서 특별 강연

[베트남 판민찐 총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특별 강연]

Read More
축소_2강

[소식] AsIA지역인문학센터, 2024 AsIA인문자산강좌 종강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AsIA지역인문학센터와 국립중앙박물관이 공동으로 주최한 《2024 AsIA인문자산강좌 – 동남아시아의 미술과 문화》가 성황리에 종강하였다.
Read More
축소_DSC07978

[소식] 오만 술탄카부스 대학·서울대학교 LnL 대학생 방문단 아시아연구소 방문

2024년 6월 25일, 오만 술탄카부스 대학과 서울대학교 LnL 대학생 방문단이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 방문하였다.

Read More
20240701_085054

[소식] 아시아지역리뷰웹진 《다양성+Asia》 2024년 6월호(25호) 발간

아시아연구소에서 연 4회 발행하는 아시아지역리뷰웹진 〈다양성+Asia〉 2024년 6월호(25호)가 발간되었습니다.

Read More

[출판] Asianization of Asia (Routledge Contemporary Asia Series)

This book explores the Asianization of contemporary Asia, a trend that through neoliberal economic globalism has diluted the political effect of the EuroAmerican-dictated segmentation of Asia and instead facilitated and accelerated socioeconomic exchanges and collaborations among Asian nations themselves.

Read More
ASIA BRIEF
asiabrief_4-19

KASA 출범···아시아의 경쟁적 우주개발에 세계가 놀란다.

                                                      김승조 (서울대학교)

한국항공우주청(KASA)이 2024년 5월 27일 마침내 출범하였다. 우주탐사에 대한 아시아지역 국가들의 관심이 높다. 특히 중국, 인도, 일본의 세 국가는 전 세계적으로 보아도 우주탐사에 앞서가고 있는 열성적인 국가이다. 대한민국도 이들보다는 좀 늦게 시작했지만 최근 들어 인공위성과 발사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우주항공청 설립으로 한 단계 더 도약을 꿈꾸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들 네 국가의 우주기술관련 연구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전 세계적인 관점에서 이들의 경쟁력도 분석해 보고자 한다.

Read More
doha-qatar-west-bay-fabe12-1024
MEDIA
임현진

[매일경제] 혁명보다 어려운 개혁에 성공하는 법

[창립소장 임현진 교수(시민사회 프로그램 디렉터)]
Read More
구기연

[경향신문] 이란 권력 구도 어떻게 될까

[구기연 HK연구교수(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서아시아센터)]

Read More
20240628_103843

[EBS 다큐프라임] EBS 창사특집 - 생성형 AI 다큐 위대한 인도 1·2부

[강성용 교수(남아시아센터장)]
Read More
20240628_103843

[OBS 시사] [소소한 문제 연구소] '마약과 갱단의 대륙' 중남미에 대한 오해와 진실

[민원정 객원연구원]
Read More
20240701_091128

[위즈덤칼리지] 영향력을 잃는 파나마 운하, 중국은 니카라과를 노린다 [민원정 교수의 중남미 탐구생활]

[민원정 객원연구원]
Read More
EVENT REVIEWS
축소_20240615_021512736_iOS

[아시아도시사회센터] 2024 공유도시 워크숍

2024년 6월 14일 1박 2일간의 공유도시 워크숍을 강원도 춘천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하였다.

Read More
축소_KakaoTalk_20240617_102218461

[서아시아센터]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격동의 중동, 한국의 대응과 전략

2024년 6월 15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서아시아센터는 한국중동학회, 한국외대 중동연구소와 공동으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격동의 중동, 한국의 대응과 전략”라는 주제 하에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Read More
축소_20240617_031720916_iOS

[아시아도시사회센터] From Globalizing Taipei to Learning Amsterdam: Referencing as a politicizing strategy for urban development in Taiwan

2024년 6월 17일 12시부터 From Globalizing Taipei to Learning Amsterdam이라는 제목으로 Yi-Ling Chen 교수님의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Read More
축소_KakaoTalk_20240617_203243786_16

[중앙아시아센터,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2024년 봄 우크라이나에서 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현황과 대응전략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과 HK+ 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은 6월 17일 이양구 전 우크라이나 대사를 초빙해 ‘2024년 봄 우크라이나에서 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현황과 대응전략’이라는 제목으로 전문가 특강을 개최했다.

Read More
축소_KakaoTalk_20240620_151356228_05

[아시아-아프리카센터] 아프리카와 국제관계 이론의 함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아프리카센터(센터장 김태균)는 아프리카의 국제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학부 전공 주임교수인 황규독 교수님을 초청하여 2024년 6월 아프리카 세미나를 개최했다.

Read More
축소_KakaoTalk_20240623_154002337

[남아시아센터] 남아시아 경제사회 현안 워크샵: 인도의 위험산업군에 대한 절대책임론

인도 법에서의 절대책임론이란, 지정된 특정 위험사업군에서 법적인 요건(지극히 위해하고 내재적인 위험을 가진 활동)에 해당하는 손해가 일어났을 때, 손해배상에 대한 책임을 절대적으로 묻는 것이다.

Read More
축소_IMG_0710

[시민사회프로그램] 지정학적 환경변화와 동아시아 반도체 산업의 도전과 기회

6월 24일 오후 2시 아시아연구소 303호에서 〈Geopolitics and Changing Determinants of GVCs in the Global Semiconductor Industry〉를 주제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 프로그램 주최의 특별강연이 개최되었다. 

Read More
축소_KakaoTalk_Photo_2024-06-28-07-18-38

[시민사회프로그램] Reflections on the Korean Civil Society and the Urgent Challenges to Korean Civil Movements

이번 워크숍은 2024 SNUAC-TOYO Co-Lecture 시리즈 두 번째 순서로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 프로그램 공석기 공동연구원이 발표를 맡았다. 

Read More
축소_현장사진 (2)

[아시아도시사회센터] The Transnational Ruling Class: A Conspiratorial Elite or Part of a Global Class Structure?

2024년 6월 25일 15시부터 아시아연구소 303호에서 “The Transnational Ruling Class: A Conspiratorial Elite or Part of a Global Class Structure?”라는 제목으로 Jim Glassman 교수의 콜로키움을 진행하였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240806_poster
PEOPL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는 아시아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국내외 우수학자들의 교류 및 아시아연구소와의 협력을 위하여 방문학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학년도 하반기 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 프로그램 참여 연구진을 소개합니다.

신판석_방문

[방문학자] Pan Seok Shin

Pan Seok Shin is a professor emeritus of Hongik University. He is a former Dean of PSM Graduate School and College of Science-Technology of Hongik University. Professor Shin has a B.A.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 Ph.D. in Electric Power Engineering from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USA. He worked as a faculty researcher at the Oak-Ridge National Lab., USA in 2010, and has served as a member of Korea Standards Committee from 2014. He published several books and articles both in Korean and English.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Youtube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