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4 SNUAC WEEKLY (2월 셋째 주)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asia_review_banner_kor-1-2
FEATURES THIS WEEK
경성학파의-인류학

[출판] 경성학파의 인류학: 식민주의에서 군국주의로

이 책은 제국 일본의 식민지 정책이 실시되었던 조선에서 문화통치 기구의 하나로 자리매김했던 경성제국대학을 다룬다. 고등교육기관의 교육 제도 차원에서 식민지대학을 연구하려는 것이 아니고, 대학 차원에서 실시되었던 학술 사업과 소속원들에 의해서 실천되었던 학술 업적 중 특히 인류학 분야에 한정해 논의하는 것이 이 책의 일반 목적이다. 그리고 경성제국대학이 존치했던 1926년부터 1945년 사이에 대학 차원에서 또는 소속원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던 인류학적 작업들을 망라해 정리하고 분석하는 것이 이 책의 구체적 목적이다.

Read More
웹진-공유도시-썸네일_2024년-1월-724x1024

[소식]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웹진 공유도시(17호) 2024년 1월호 “문화유산과 도시재생” 발간

웹진 공유도시 (17호) 2024년 1월호 “문화유산과 도시재생”이 발간되었습니다. 이번 웹진 공유도시 1월호에는 지역의 문화유산과 도시재생이 연결된 현장이 주는 힘에 다시 주목했습니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240221_poster
230222_poster
240229_poster
MEDIA
구기연

[경향신문] 지상에서 함께 산다는 것

[구기연 HK연구교수(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서아시아센터)]

Read More
시민운동의미래는-있는가

[중앙SUNDAY] 디지털 시대 ‘아래로부터의 감시’로

[아시아연구소 출판 도서 서평]

Read More
20240213_110907

[언더스탠딩] 핵 보유국 인도 군대가 엉망진창인 이유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강성용 교수)

[강성용 교수(남아시아센터장)]

Read More
20240213_111007

[일프로TV] 미친 인플레이션의 나라, 몰락의 아르헨티나? 한국이 아르헨티나 꼴 난다? [민원정 교수의 중남미 탐구생활_아르헨티나 1부]

[민원정 객원연구원]

Read More
20240213_110939

[삼프로TV] 인도 여행 쇼핑 리스트 대공개 | 강성용 서울대학교 남아시아센터 센터장 [라이프IN넘버스] #인도위스키 (feat. 남아시아 인사이드)

[강성용 교수(남아시아센터장)]

Read More
EVENT REVIEWS
아시아-아프리카-포럼_1

[아시아-아프리카센터] 제1회 서울대 아시아-아프리카 포럼

아시아-아프리카는 지난 2024년 1월 29일(월) 아시아연구소 영원홀에서 제 1회 서울대 아시아-아프리카 포럼(SNU ASIA-AFRICA FORUM)을 개최하였다.

Read More
축소_1

[아시아발전모델프로그램] 지정학적 리스크와 산업정책의 재림

2월 2일 오후 2시 우석경제관 507호에서 <지정학적 리스크와 산업정책의 재림> 주제로 아시아 발전모델 프로그램 주최의 국내학술회의가 개최되었다.

Read More
축소_사진 2

[동북아시아센터] 한국 문화의 구조와 변동

고려대 이헌창 명예교수는 경제학자이지만 이번 발표에서 퇴임 이후에도 꾸준히 연구한 결과물로 <한국문화의 구조와 변동>이라는 문화론적 주제를 다루었다.

Read More
축소_백진 (3)

[아시아연구소] 아시아기초연구사업 2023 기획과제 중간발표 1차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의 학문후속세대 연구회인 유라시아연구회 주최의 제1회 콜로키움이 2024년 1월 10일 (수)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진행되었다.

Read More
축소_전문가초청 사진

[중앙아시아센터] 돌아갈 수 없는 사람들: 난민법의 이해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최계영 교수를 초청하여 “돌아갈 수 없는 사람들 – 난민법의 이해 -”라는 제목으로 제2회 전문가 초청 특강을 개최했다.

Read More
축소_제3회 인도 문헌연구 워크샵 사진

[남아시아센터] 제3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

1월 26일 남아시아센터의 인도문헌연구 워크샵에서는 국내외에서 활발히 연구중인 인도학의 신진학자들이 모여 함께 쌍캬까리까를 강독했다.

Read More
축소_세미나 사진2

[중앙아시아센터] 유라시아 난민연구의 현황과 전망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은 2월 1일 아시아연구소 304호에서 제2회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