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3 SNUAC WEEKLY (5월 둘째 주)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FEATURES THIS WEEK

[매일경제] 서기 2300년, 한국은 세계지도에서 사라진다 …"이민은 필수"

ÀÓÇöÁø ¼­¿ï´ë ¸í¿¹±³¼ö-¸Å°æ ³í¼³½Ç ´ë´ã‌

새로운 '인구폭탄(population bomb)'. 인구 과잉과 식량 부족으로 인한 지구 종말은 지나간 얘기다. 이제는 인구 감소로 인해 경제 성장이 멈추는 것을 걱정해야 한다. 잭 골드스톤 미국 조지메이슨대 교수에 따르면 세계 인구는 2070년 100억명으로 정점에 도달한다. 선진국 인구는 줄지만 후진국 인구가 늘면서 미국, 유럽, 일본 대신 인도, 중국, 브라질,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등이 경제 대국이 된다. 선진국은 노년 인구에 대한 복지 수요 증가에 따라 경제 역동성이 떨어지고 사회 안정성도 나빠진다.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Read More

[월간중앙] 신년특별기획시리즈 -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새로운 미래는 있는가(최종회)

‌ 3-24_image01

지금까지 한국 시민사회운동 쇠락 현상의 원인을 크게 운동성의 상실과 MZ세대의 외면을 중심으로 진단했다. 이어 처방으로 보조금 딜레마를 벗어날 수 있는 선순환적 자원동원 메커니즘을 새롭게 만드는 것, 그리고 디지털 플랫폼으로 모든 것이 수렴하는 정보 체제(Information Regime)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어떻게 아래로부터 감시하고 대응할 것인가를 도전과제로 제시했다. 이제 어떻게 시민성을 갖춘 풀뿌리 지구시민을 한국 시민사회 생태계에서 길러낼지를 제안하는 것으로 이번 기획 시리즈를 마치려고 한다.

시민의 시대는 저물었고, 개인의 시대가 왔다. 모든 것을 개인 스스로 해결하려고 한다. 그러니 자신의 지식·경제력·자원동원 능력만을 바라보게 된다. 저자들이 몇 년 전 집필한 책 제목은 [주민과 시민사이]였다. 이 책을 통해 일정 경계 안에 머물면서 주민으로 사는 것에 만족하며 그 경계(지리적·인식적·활동적 측면) 안에 안주하려는 것을 넘어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근래에 그 주민과 시민 ‘사이’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Read More
ASIA BRIEF

미래는 교육이다

‌ 3-24_image01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미래는 교육이다’.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어떻게?”라고 물었을 때 제대로 답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교육이야말로 한 사회의 복잡한 이해관계와 계층갈등, 그리고 이제는 세대갈등마저 첨예하게 벌어지는 현장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오늘날까지 밀려왔다. 20세기에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교육정책과 현장을 장악하고, 21세기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20세기에는 그 시대의 도전이 있었다. 선진국들은 군비 경쟁과 산업의 고도화를 위해 달렸고, 우리나라와 같은 후발 주자는 먼저 근대화라는 과업에 직면했다. ‘한강의 기적’이라 일컫는 산업화를 이루었고 곧이어 민주화까지 쟁취한 대한민국은 세계에서도 유래 없이 빠른 속도로 선진국의 반열에 진입했다. 이 과정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의 선진화를 추동한 힘의 근원으로 국민의 높은 교육열을 빼 놓을 수 없다.

Read More
EVENT REVIEWS
230501_4

신자유주의적 사실주의와 포스트모더니티 한류: 넷플릭스 K-drama <오징어 게임>과 MZ세대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인 <오징어 게임>의 분석을 통해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경쟁과 가치 원칙에 대한 재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다양한 국가, 인종, 문화적 배경을 갖는 현대 한국성의 개념을 재구성하고 문화적 보편성과 특이성의 이분법적 구조를 해체한다. 한류 연구는 긍정적 정동과 현대적 의미의 한국성에 대한 해석을 통해 글로벌 시민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한국 내부의 소비와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는 데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20230509_poster

[아시아연구소] Defining (East) Asian–Latin American cinema and literature

일시: 2023년 5월 9일(화) 12:00-13: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406호

Read More
0509 아시아-아프리카센터

[서아시아센터/아시아-아프리카센터] 긴급현안 세미나: 수단 분쟁 배경과 전망

일시: 2023년 05월 09일(화) 16:00-18: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
(Zoom Link: https://snu-ac-kr.zoom.us/j/96927869422)

Read More
230516_poster

[아시아지역정보센터] Open API와 데이터 애널리틱스를 이용한 세계은행 자료분석: 파이썬과 SAS 활용 사례

일시: 2023년 5월 16일(화) 10:00 ~ 12:00
Zoom: https://snu-ac-kr.zoom.us/j/99495280172?pwd=NU1HUVNJYXprQTAvaTBHQncrQnJ5Zz09

Read More
230516_poster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샤리아 거버넌스와 ESG

일시: 2023년 5월 16일(화) 10:30-12: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Read More
230519_poster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서아시아센터] 요르단으로의 여정

일시: 2023년 05월 19일(금) 13:00-15:00
장소: 주한 요르단 대사관

Read More
230519_poster

[아시아-아프리카센터] 2023 서울대 아프리카 특별강연 '조원호 전 가봉 대사 초청강연'

일시: 2023년 05월 19일(금) 12:00-13: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Read More
230519_poster

[동북아시아센터] 시청각 아카이브 연구방법으로서 ‘몸짓으로서 세계’: 『Cine-Mobility』(2022)

일시: 2023년 05월 19일(금) 12:00-13: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Read More
230522_poster

[아시아-아프리카센터/중앙아시아센터] 2023 5월 서울대 아프리카 세미나

일시: 2023년 05월 22일(월) 16:00-17:30
※ 온라인 Zoom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my/snu.asia.africa.center)

Read More
230517_poster

[서아시아센터]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 다각화에서 네옴 시티의 역할

일시: 2023년 05월 24일(수) 16:00-17:30
온라인 Zoom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2430495843)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