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3 SNUAC WEEKLY (3월 셋째 주)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타이틀 배너 20호
PUBLICATIONS
오늘을-넘는-아시아-여성

오늘을 넘는 아시아 여성

아시아 여성에 대한 일련의 표상들은 대체로 극단화되어 있다. 히잡을 두른 여성이나 중산층의 전업주부로 묘사되며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체제의 결합 구조에 순응하는 이미지. 한편에서는 가족의 자본을 총동원하여 계급 재생산에 열을 올리는 신자유주의적 모성의 화신으로서의 ‘헬리콥터 맘’들 혹은 섹슈얼리티가 극대화된 성적 대상으로서의 이미지. 이와 같은 모습들이 아시아 여성들의 ‘순응성’을 극대화해 표상한다.

Read More
FEATURES THIS WEEK
f223_thumb_3717916968_3pzwahiq_1

[월간중앙] 신년특별기획시리즈 - 한국 시민사회운동 새로운 미래는 있는가 ③

한국 시민사회는 전례 없는 복합적 위기와 중층적 위협을 마주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상승적 결합은 보이지 않는 알고리즘을 통해 우리 삶이 부지불식간에 관리되는 ‘알고크라시(Algocracy) 시대’가 도래했다. 일종의 ‘기술 봉건제(Techno-Feudalism)’다. 그러나 시민사회는 점차 파편화돼 초국적 연대활동이 위축되고 있으며, 지역 시민사회도 도시 과밀화와 지방소멸로 인해 자신의 세계만 바라보고 있는 실정이다.

Read More
구기연

[경향신문] 구기연의 국제칼럼 - 괴물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잠잠해지던 이란 사회는 3월에 다시 큰 충격에 빠졌다. 바로 여학생들과 여대생을 대상으로 독성 가스 공격이 전국 각 지역에서 무차별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미국에 본부를 둔 ‘이란 인권 활동가들’(HRAI)은 7000명 넘는 학생들이 이 테러로 피해를 보았다고 밝혔다.

Read More
최경희

[NAVER TV] 이슈 픽 쌤과 함께 - 아세안의 재발견! 떠오르는 거인 인도네시아가 온다 | KBS 230319 방송

유투브 바로가기 https://tv.naver.com/v/34122467

Read More
ASIA BRIEF

2022 카타르 FIFA 월드컵의 정치학

‌ 3-15

메가이벤트라는 개념이 있다. 개최 기간은 수주에서 수개월에 불과하지만 최소 수년의 준비 시간이 소요되고 그 영향은 최대 수십 년에 이르며, 개최 장소는 한 도시나 한 지역 등으로 제한적이지만 이를 관람하는 사람은 최소 천만에서 최대 수십억에 이르는 이벤트들을 일컫는다. 세계박람회, IOC 올림픽, FIFA 월드컵, 아시안게임 등이 이 ‘메가이벤트’에 해당한다.

이런 메가이벤트는 정치의 수단이었다. 제국주의 시대 최대의 메가이벤트였던 박람회는 ‘제국’의 문명을 보여주는 수단이었다. 1851년 런던 수정궁(Crystal Palace)에서 열린 최초의 박람회부터 이미 박람회는 개최 국가의 산업과 문화가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주변 국가와 비교하여 보여주는 국제 정치의 장이었고, 기술과 산업이 창출하는 유토피아의 현실성을 광고하고 사회주의 유토피아 비전을 무력화시키는 국내 정치의 장이었다.

Read More
EVENT REVIEWS

[한류연구센터] SM 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 어떻게 볼 것인가?

3‌

3월 3일 아시아연구소 영원홀에서 한류연구센터와 문화연대가 공동 개최한 <SM 경영권 분쟁,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제목의 토론회가 열렸다. 홍석경 한류연구센터장이 사회를 맡았으며 이동연 한예종 교수와 조영신 SK브로드밴드 경영전략 그룹장이 발제자로 참여했고, 서정민갑 대중음악의견가, 이종임 서울과기대 강사, 김수아 서울대 교수, 이동준 서울대 아시아문화연구소 방문연구원, 김도헌 대중음악평론가, 이지행 동아대 젠더·어펙트연구소 전임연구원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Read More

[아시아연구소] 강대국 편승 안보정책 평가-미국 동맹 억제력에 대한 정량적 분석

‌ 수정1

한국 안보의 핵심 기제는 강대국 동맹에 주로 의존함으로써 국가 생존을 추구하는 것이다. 지난 수 세기 이러한 강대국 편승 안보 정책은 어떤 상황에서도 유용한 우세 전략 또는 불가피한 선택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는 오늘날 한국이 국가 목표에 충실하고, 이익을 극대화하고, 정체성을 분명히 할수록 그 본질적 취약성, 역설, 모순이 현실화하고 있다. 따라서 강대국 편승안보정책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위해 강대국 동맹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은 한국 학계에 주어진 가장 중차대한 시대적 과제다. 본 세미나는 1차로 미국 동맹억지력에 대한 통계분석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Read More

[서아시아센터] 감금의 장르들: 이집트의 젠더, 처벌과 감옥의 근대성

수정1‌

2023년 3월 14일 서아시아센터는 아부다비 뉴욕대학교의 역사학자 Hannah Elsisi 교수를 초빙하여 “Genres of Captivity: Gender, Punishment and Carceral Modernity in Egypt”를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했다. Elsisi 교수는 자신의 책 Lovers in the Citadel: Prisons and Other Architectures of Subjection in Egypt를 기반으로 19세기 초부터 팽창하기 시작한 정치적 감옥(mu’taqal)과 젠더라는 두 축이 이집트의 근대성을 형성한 역사에 대해 강연하였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230321_poster

[아시아의 문명 교류 프로그램] 근대공업의 동아시아 서플라이체인 변화와 북한의 대일 인식

일시: 2023년 03월 21일(화) 16:00-17: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Read More
230324_poster

[아시아-아프리카센터] 2023 3월 서울대 아프리카 세미나

일시: 2023년 03월 24일(금) 12:00-13: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Read More
230324_poster

[중앙아시아센터] 중앙아시아 센터 통합 워크숍 <이주의 동학 : 커뮤니티, 노동, 정책, 안보> 시리즈 1

일시: 2023년 03월 24일(금) 15:00-17: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Read More
230328_poster

[동남아시아센터] 기후위기와 동남아시아 농업-영향과 적응

일시: 2023년 03월 28일(화) 15:00-16: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406호
※ 온라인 Zoom, 오프라인 동시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7392216816)

Read More
230329_poster

[한류연구센터] Understanding Korean Webtoon Culture - Book Talk

일시: 2023년 03월 29일(수) 10:00-11:40
※ 온라인 Zoom 진행
(사전 신청 링크: https://forms.gle/rf2UVZBSE8ny7ZvR8)

Read More
230330_poster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서아시아센터] 『아랍의 봄, 그 후 10년의 흐름』 출간기념 북토크

일시: 2023년 03월 30일(목) 15:00-17: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210호)
※ 온라인 Zoom, 오프라인 동시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7423328659)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