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3 SNUAC WEEKLY (5월 첫째 주)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PUBLICATION
asiareview11-3

아시아리뷰 제13권 | 제1호 | 2023 발간

김정은 시대 북한 도시의 변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자유 주제
서평

Read More
FEATURES THIS WEEK
수정1

[아시아-아프리카센터] 나이지리아 연방하원의원 Kayode Akiolu 방문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의회 분야 유력인사 그룹초청 사업으로 방한한 나이지리아 연방하원의원 Kayode Akiolu는 2023년 4월 26일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아프리카센터(센터장 김태균)를 방문했다. 아시아-아프리카센터의 김태균 센터장, 조준화 선임연구원이 참석하였으며, 경험 공유와 향후 교류 및 협력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Kayode Akiolu 하원의원은 한국의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 경험에 관하여 관심을 표했으며, 한국의 경험 공유를 위한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며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였다.

Read More
ASIA BRIEF

특집: 초거대 AI의 미래(2)
생성모델과 AI 거버넌스

‌ 3-22_image01

마경태 (법무법인 태평양)

2023년은 모두가 놀랄 만한 새로운 인공지능(AI) 서비스 출시 소식이 쏟아지며 AI 기술과 산업에서 기념비적인 한 해가 되고 있다. 현재 혁신을 이끌고 있는 AI 모델은 챗GPT(ChatGPT)와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과 같은 생성모델(Generative Model)이다. 생성모델이란 문장, 이미지, 음성을 학습한 데이터와 유사하게 생성해내는 모델이다. 생성모델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하는데, 이제는 인터넷에 공개된 거의 모든 정보를 학습할 정도로 엄청나게 큰 규모의 데이터셋을 통해 훈련이 이루어진다.

Read More

특집: 초거대 AI의 미래(3)
인공지능과 고전학 연구

‌ 3-23_image01

이강재 (서울대학교)

2022년 연말에 Openai사의 챗GPT3.5가 공개되면서 모두 놀라움과 두려움을 느꼈다. 2016년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가 만든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 알파고(AlphaGo)가 이세돌 9단을 이겼을 때와는 전혀 다른 충격이다. 알파고가 바둑에 국한된 것이기에 우리와는 떨어져 있다고 생각했다면, 이번에는 교육과 연구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다. 챗GPT에 앞서 2022년 9월 미국 콜로라도 주립박람회에서 디지털 ART 부분 우승작으로 선정된 작품 “스피이스 오페라 극장”이 미드저니(Midjourney)라는 AI 프로그램으로 만든 것임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었다. 

Read More
EVENT REVIEWS
수정1

[동북아시아센터] 중국 쇠퇴도시의 현황과 과제

1980년대 본격화된 개혁개방, 즉 자본주의로의 전환과 더불어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라 불리게 되었다. 그리고 이 변화는 중국의 도시를 변화시켰다. 주강삼각주(광저우, 선전, 홍콩), 장강삼각주(상하이, 항저우, 쑤저우), 그리고 베이징권에 대규모의 산업 생산 기지들이 만들어지면서 산업화와 도시화가 동시에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중국의 산업화와 지경학적 변화이기도 하다.

Read More

[한류연구센터] 지금 다시 보는 스튜어트 홀과 레이먼드 윌리엄스영국 문화연구 고전 번역 작업 후기

‌ 1

한류연구센터는 4월 26일 스튜어트 홀과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주요 저작을 번역한 임영호 교수와 함께 <지금 다시 보는 스튜어트 홀과 레이먼드 윌리엄스: 영국 문화연구 고전 번역 작업 후기>라는 제목의 토크를 진행했다.

Read More
img_0425

[아시아연구소] 난민의 국내정착과 보호확대: 제주도 난민 유입 5주년을 돌아보며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국가인권위원회, 이민정책연구원은 '난민의 국내정착과 보호 확대: 제주도 난민 유입 5주년을 돌아보며'라는 주제로 '2023 난민 포럼'을 개최하였다.

Read More

[동북아시아센터] 동일본 대지진 이후의 일본 도시와 건축

‌ KakaoTalk_20230428_211253433

어떤 도시를 만들 것인가? 이를 생각하고 이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이들은 여러 분야에 걸쳐 존재한다. 도시를 담당하는 정치인들이 있고, 도시의 행정가들도 존재하며, 도시계획을 만드는 이들도 존재하고, 도시사회학자나 도시인류학자들 역시 도시의 방향 논하는 자리에 참여한다. 그 가운데 건축가 역시 빼놓을 수 없는 존재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이동준_포스터

[아시아연구소 브라운백세미나] 신자유주의적 사실주의와 포스트모더니티 한류: 넷플릭스 K-drama <오징어 게임>과 MZ세대를 중심으로

일시: 2023년 05월 02일(화) 12:00-13: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406호

Read More
0509 아시아-아프리카센터

[서아시아센터/아시아-아프리카센터] 긴급현안 세미나: 수단 분쟁 배경과 전망

일시: 2023년 05월 09일(화) 16:00-17: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Read More
230519_poster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서아시아센터] 요르단으로의 여정

일시: 2023년 05월 19일(금) 13:00-15:00
장소: 주한 요르단 대사관

Read More
230519_poster

[아시아-아프리카센터] 2023 서울대 아프리카 특별강연 '조원호 전 가봉 대사 초청강연'

일시: 2023년 05월 19일(금) 12:00-13: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Read More
230517_poster

[서아시아센터]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 다각화에서 네옴 시티의 역할

일시: 2023년 05월 24일(수) 16:00-17:30
온라인 Zoom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2430495843)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