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3 SNUAC WEEKLY (3월 첫째 주)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FEATURES THIS WEEK

[월간중앙] 신년특별기획시리즈 -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새로운 미래는 있는가 ②

‌ f198_thumb_2041357502_p5yac02g_2

지난해 9월 1일 ‘2022 엔 포럼(N_FORUM)’에 참여해 ‘사회혁신을 고민하는 새로운 모델, 가벼운 공동체’라는 주제로 발표할 기회가 있었다. 현장에서 300여 명, 유튜브 생중계에 접속한 사람까지 합하면 500명의 젊은 시민사회 활동가들이 참여한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시민사회운동 영역에 젊은 세대, 소위 MZ세대(1981~1996년생의 새천년세대와 1997~2012년생의 Z세대)가 사라졌다는 것이 아님을 확인해서다. 젊은이들이 시민사회운동 단체를 떠나 좀 더 광의의 시민사회운동 생태계에 눈을 돌린 것이다. 왜 그들은 시민사회운동에 등을 돌렸을까?

Read More

[연합뉴스] 홍석경 서울대 교수, 벨기에 루벤대서 '한류' 특강

AKR20230221001200098_01_i_P4‌

주벨기에 한국문화원은 22일(현지시간) 벨기에 루벤대에서 홍석경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를 초청해 '한류: 시장과 국가를 넘어서' 주제 특강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홍 교수는 '한류'라 불리는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적 배경 및 발전 양상과 글로벌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배경을 설명할 예정이다. 홍 교수는 한류 관련 다수 논문을 발표했으며 2020년에는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성공을 문화 산업·사회적 시각으로 풀어낸 저서 'BTS 길 위에서'를 출간했다.

Read More

[KBS 특파원보고 세계는지금] 299회 미리보기 / 2023년 3월 4일 21:40 방송 - 구기연 연구교수

‌ KakaoTalk_20230306_091136624

초대형 지진이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휩쓸고 지나간 지 3주가 지났다. 현지 시각 2월 24일, 튀르키예의 누적 사망자 수 44,218명, 시리아에서 발표한 누적 사망자 수 5,914명으로, 양국의 사상자 규모는 5만 명을 넘어선다고 외신은 전했다. 특히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는 시리아의 지진 피해자들은 더욱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다. 대부분 구호물자가 튀르키예와의 국경지대를 통해 전달되어 경로가 제한적인 데다가, 반군이 구호 물품의 원활한 전달을 가로막고 있어서다.

Read More
ASIA BRIEF

특집: 튀르키예 지진(1) - 2023년 튀르키예 대지진과 튀르키예 및 주변국 관계의 변화가능성

‌ 3-1

2023년 2월 6일, 튀르키예 남동부에 위치한 카흐라만마라쉬(Kahramanmaraş)와 가지안텝(Gaziantep) 사이에서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 이후 최대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진앙지인 카흐라만마라쉬와 가지안텝을 포함한 10개 도에서 공식 통계로 4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2300만 이상의 사람들이 집을 잃었다.

지진 발생 직후 세계 각국은 구조인력과 물품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 지원의 물결에는 현재도 전쟁 중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포함하여, 미국과 서방 진영, 반서방 진영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특히 튀르키예와 역사적, 정치적인 이유로 불편한 관계인 그리스와 아르메니아, 현재 NATO 가입에 있어 튀르키예와 갈등 중인 스웨덴 모두 튀르키예의 지진 피해자들을 위한 인적, 물적 지원을 했다는 점 또한 특기할 만한 상황이다.

Read More
EVENT REVIEWS

[아시아 발전모델 프로그램] 포스트코로나 시기 동아시아 발전국가: 변화와 혁신

‌ 사진1

2월 10일 오후 2시 아시아연구소 303호에서 <포스트코로나 시기 동아시아 발전국가: 변화와 혁신> 주제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 발전모델 프로그램 주최의 국내학술회의가 개최됐다.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임혜란 교수의 사회로 개회된 본 학술회의는 여러 국가의 사례를 살펴보며 진행됐다.

Read More

[아시아의 문명 교류 프로그램] 墓誌를 활용한 唐代 고구려ㆍ백제계 유민 연구

행사사진 1‌

지난 2월 22일(수),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의 문명 교류 프로그램’의 ‘고대 한반도의 디아스포라 집단들’ 세미나 시리즈 제4회 세미나가 열렸다. ‘고대 한반도의 디아스포라 집단들’은 본토를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아가는 집단을 핵심 주제로 하여, 과거 아시아 세계에 존재했던 네트워크의 일면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Read More

[미래지구 프로그램] Mix and Mingle for Future Earth: 쉽게 소통하는 전통지식과 복잡계 사고: 제6회 비저니어링과 전환의 지렛대

‌ KakaoTalk_Photo_2023-02-24-16-25-49 001

미래가 지속불가능하다는 것을 모두가 인정하는 오늘, 우리는 왜 여전히 변화하려 하지 않을까? 2023년 2월 23일 미래지구프로그램의 6번째 브라운백 세미나가 “비저니어링와 전환의 지렛대”라는 주제로 열렸다. 이날 세미나를 이끈 김준 교수는 2021년 발표한 논문(김준, 2021)의 주요 내용을 함께 살펴보고, 변화가 필요한 우리의 선택과 노력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이끌었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0307_아시아인사이트국문

[아시아연구소] 아시아 인사이트

일시: 2023년 03월 07일(화) 10:00-12: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210호)

Read More
230309_poster

[시민사회 프로그램] 한일 사회적 혁신 공동 워크숍

일시: 2023년 03월 09일(목)~2023년 03월 11일(토)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Read More
230314_poster

[서아시아센터] 감금의 장르들: 이집트의 젠더, 처벌과 감옥의 근대성

일시: 2023년 03월 14일(화) 16:00-17: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4호

Read More
230324_poster

[아시아-아프리카센터] 2023 3월 서울대 아프리카 세미나

일시: 2023년 03월 24일(금) 12:00-13: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Read More
230330_poster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서아시아센터] 『아랍의 봄, 그 후 10년의 흐름』 출간기념 북토크

일시: 2023년 03월 30일(목) 15:00-17: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210호)
※ 온라인 Zoom, 오프라인 동시 진행
(참가 링크: https://snu-ac-kr.zoom.us/j/97423328659)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