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온라인 매거진

아아: Asia&Asias 2025년 19호 (2025년 11월 27일)

웹진 < 아아: Asia&Asias > 2025년 19호는 캄보디아의 한국인 취업 사기 문제와 2025년 6월 개최된 중국-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회담에 관한 분석과 지식 체계로 자리잡은 케이팝과 한류 현상을 소개합니다.

<아시아 브리프>에서는 한동만 연세대학교 교수가 최근 대두된 캄보디아 취업 사기 문제를 진단하고,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의 초국가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합니다. 김선희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지난 6월 카자흐스탄에서 개최된 중국-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회담을 분석해 중국의 대중앙아시아 정책을 전망합니다.

<다양성+Asia>는 이소윤 시카고대학교 한류 연구자가 교육 대상으로서 K-Pop과 한류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류가 문화 상품을 넘어 지식 체제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웹진 편집위원회

아시아브리프

다양성+아시아

아연의 아시아연구

일본 외무성문서를 통해 본 6·25전쟁의 정전: 일본 외무성은 과연 정전을 어떻게 바라보았는가?

들어가며: 일본 외무성 사료 조사 올해 2025년은 1950년 6·25전쟁 발발 75년, 그리고 정전협정 체결 72년이 되는 해이다. 한반도의 긴장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

Does Religion Hinder Women’s Political Efficacy in Muslim-Majority Societies? Rethinking the Role of Religion, Gender Norms, and Political Engagement

Asian Woman 41(3)

안소연(아시아연구소 서아시아센터)

이 글은 무슬림 다수 국가에서 여성의 종교성과 정치적 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여 깊이 뿌리내린 가부장제가 종교성보다 여성의 정치적 자신감과 역량을 크게 약화하는 핵심 요인임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종교와 가부장제를 구분해 이해해야 하며, 여성의 정치적 역량을 파악할 때 교차적이고 맥락에 민감한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Digital Restoration of the Heritage Landscape through a GIS-Based Approach: Case Study of the Gochang Dolmen Site in South Korea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 XLVIII-M-9-2025

조민재(아시아연구소), 심우진(아시아연구소), 고일홍(아시아연구소)

이 글은 고창 고인돌 유적을 사례로 세계유산 지정이 보존된 거대 유적만을 강조해 사라지거나 기록되지 않은 유산을 주변화한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GIS와 기록 자료를 활용해 훼손된 유산을 공적 기억 속에 다시 포함하는 새로운 경관 기반 접근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유산 보존은 기념물 중심에서 벗어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보다 포용적이고 통합적인 방식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보이지 않는 장(Field): K-pop과 인디 신(Indie Scene)의 문화적 공진화

『글로벌문화콘텐츠』 64권

고윤화(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이 글은 K-pop과 인디 음악 신이 대립하는 구조가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공진화 관계임을 밝힌다. 인디 신은 창의성과 실험성을 통해 K-pop 산업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뒷받침하는 보이지 않는 기반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한국 음악 산업은 위계보다 상호작용 속에서 발전하는 다층적 구조로 재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