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는 2025년 8월 28일 외교부가 개최한 「서울 중동문제 국제회의」를 공동 주관하였다. 2015년부터 이어져 온 이 회의는 학계 등 국내외 전문가가 중동 정세에 관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는 1.5트랙 성격의 회의로, 올해는 미국, EU 및 회원국, 일본의 주요 전문가를 초청하여 ‘글로벌 전환기의 중동과 한국의 역할’이라는 주제 하에 논의가 이루어졌다.
|
|
|
|
웹진 < 아아: Asia & Asias > 2025년 12호가 발행되었습니다. 이번 호의 주제는 ‘베트남의 행정개혁과 중국의 AI 산업전략’입니다.
|
|
|
|
2025년 9월 2일 화요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AsIA지역인문학센터와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5 AsIA문명지식학교-아시아의 환경》이 개강하였다.
|
|
|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SNUAC) 동남아센터(SEAC)가 주최한 이번 학생 교류 세미나에는 인도네시아 국립대학교 한국학센터(Universitas Indonesia) Korea-Indonesia Connection(UIKIC)에서 한국학을 전공하는 학생들과 한국에서 인도네시아 지역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참석했다.
|
|
|
|
2025년 8월 28일, 오전 10시~12시에 이석희 교수의 <관료처럼 보기: 황진, 남송국가와 13세기 중국 통치의 한계>라는 제목의 북토크가 진행되었다.
|
|
|
|
2025년 9월 1일, 오후 4시~6시에 안도연의 <일본 도호쿠 지역 현지조사 성과 발표회>가 진행되었다. 본 발표회는 2025년 7월 9~13일까지 진행된 일본 도호쿠 지역 현지 조사의 성과를 공유하고 동아시아 고대사 및 아시아 지적 가치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확장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