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셋째 주
2025_weekly_line
SNUAC WEEKLY는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발행하는 주간 소식지 입니다.
cas-banner1
banner1-2-1-2-2
features
20251117_125915

아아: Asia&Asias 2025년 18호 (2025년 11월 13일)

웹진 < 아아: Asia&Asias > 2025년 18호는 최근 인도네시아 반정부 시위에 관한 분석과 인도의 경제 혁신 현황을 소개합니다.
<아시아 브리프>에서는 박준영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공동연구원이 2025년 8월 인도네시아 반정부 시위의 배경과 원인을 설명하고, 시위가 평화적 개혁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성숙도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엘리트 중심적인 성격과 시위 주도 세력의 미약한 제도화가 한계라고 지적합니다.
<다양성+Asia>는 맹현철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인도의 경제 혁신 현황을 살펴보고, 정부와 대기업이 주도해 혁신을 이끄는 특징과 이에 따르는 한계점을 분석하는 한편 변화의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Read More
media
[경향신문] ‘그저 사고’가 아닌 시민불복종

[경향신문] ‘그저 사고’가 아닌 시민불복종

[구기연 HK교수(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서아시아센터)]

2025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자파르 파나히 감독의 <그저 사고였을 뿐>(It Was Just An Accident)은 단순한 영화가 아니다.

Read More
review
2025년도 제5회 학위논문상 수상자 포럼

2025년도 제5회 학위논문상 수상자 포럼

일시: 2025년 11월 5일 (수) 15:00-17: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이번 제5회 학위논문상 수상자 포럼은 수상자들의 우수한 연구성과를 학술 공동체에 공유하고, 수상자 간의 학문적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이한나 박사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최남섭 박사가 각각 자신의 학위논문 작성 과정과 주요 연구 내용을 발표했다. 토론에는 가톨릭대학교 소속 황인택 박사와 한국외국어대학교 소속 최선아 박사가 참여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Read More
데이터로 깊어지는 아시아 지역연구-정성적 연구 방법의 이해: 심층 면담과 참여 관찰을 중심으로

데이터로 깊어지는 아시아 지역연구-정성적 연구 방법의 이해: 심층 면담과 참여 관찰을 중심으로

일시: 2025년 11월 13일(목) 11:00-12: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정성적 연구방법은 인간의 경험, 의미, 맥락 등을 수량화하기보다 서술적으로 텍스트나 이미지, 상호작용 등의 형태로 탐구하는 연구방법이다. 즉, ‘어떤’, ‘어떻게’와 같은 연구질문이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상 양적연구에 비해 표본이 작고, 목적성을 띈 표본을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인 정성적 연구방법으로는 현상학, 근거이론, 심층면담, 참여관찰 등이 있다.

Read More
upcoming-2
251118_poster
251119_poster
251120_poster
251124_poster
251124_poster
251126_poster
251128_poster
포스터 1(주)
251202_poster ‌
251016_4_poster
251204_poster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Youtub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