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4 SNUAC WEEKLY (6월 둘째 주)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FEATURES THIS WEEK

[행사리뷰] 버마의 중국 호명 방식 “따욧”에 대한 고찰과 유라시아적 해석에 관하여: 글로벌 트렌드와의 일치 가능성

2024년 6월 4일 정호재 아시아연구소 방문연구원의 아시아연구소 브라운백 세미나에서는 〈버마의 중국 호명 방식 “따욧”에 대한 고찰과 유라시아적 해석에 관하여: 글로벌 트렌드와의 일치 가능성〉을 주제로 한 발표가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스퀘어에서 진행되었다. 

Read More
KakaoTalk_20240531_151556189_02

[행사리뷰] 시리아에서 제주까지, 난민에서 한국인이 되다

라연우 발표자는 현재 제주 나오미 센터에 근무하며, 법무부 사회통합 멘토단의 멘토로 활동하고 있고, 시리아에서 태어나 2012년 전쟁 위기를 피해 한국으로 왔고 이후 귀화하여 국적을 취득했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THIS WEEK
240613_poster
230613_poster
230614_poster
240614_poster
ASIA BRIEF
asiabrief_4-17-3

차이나 커머스와 플랫폼 국가 자본주의: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역습을 어떻게 볼 것인가?

                                                      김상배 (서울대학교)

최근 차이나 커머스로 알려진, 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약진이 화제다. 차이나 커머스의 비즈니스 전략이나 이례적으로 큰 성공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주요국 정부들의 민감한 반응 때문이다. 차이나 커머스의 약진은 단순히 경제의 논리만으로 이해할 현상이 아니다. 지정학적 경쟁의 성격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 자본과 국가의 긴밀한 협업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경쟁 양식의 부상을 엿보게 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플랫폼 국가 자본주의’의 부상과 ‘플랫폼 지정학’의 전개라는 시각에서 이러한 현상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Read More
MEDIA
20240610_085245

[KBS 1라디오] [뉴스레터K] 왜 아프리카인가?...‘핵심 광물 협력’ 의미는? - 조준화 서울대학교 아시아-아프리카센터 선임연구원ㅣKBS 240605 방송

[조준화 아시아-아프리카센터 선임연구원]
Read More
20240610_085438

[위즈덤칼리지] 집 앞에 피는 풀이 대마?! 마약의 땅 중남미의 진실 [민원정 교수의 중남미 탐구생활_마약]

[민원정 객원연구원]
Read More
EVENT REVIEWS
축소_사진_24-3 북토크_2

[한류연구센터] 한류와 덴마크 팬들

지난 5월 27일, 한류연구센터는 〈Hallyu and Danish Fans〉라는 제목으로 북토크를 진행하였다. 국내외 연구자 및 학생 26명이 참가한 가운데 마틴 피터슨 (Martin Petersen) 박사가 발표자로 나섰다. 

Read More
축소_KakaoTalk_20240603_112210263_11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일본 고대 지배층이 인식한 ‘천하’와 세계

2024년 5월 27일, 아시아연구소 303호에서는 “일본 고대 지배층이 인식한 ‘천하’와 세계”라는 제목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김현경 선생님을 모시고 HK+ 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비교아시아연구클러스터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Read More
축소_240529 grace kao 강연 사진

[한류연구센터] 선미의 “주인공, 가시나, 사이렌”: K-Pop 그룹 원더걸스의 전 멤버가 선미팝을 발전시킨 과정

지난 5월 29일 한류연구센터는 예일대 사회학과의 Grace Kao 교수를 초빙해 특별 강연을 개최했다. 

Read More
축소_사진2

[아시아의지적가치프로그램] 신체, 자연, 사회: 문화 교차점에서의 지식과 실천의 형성과 변화

2024년 6월 5일 오후 4시, ‘아시아의 지적가치 프로그램’ 주최 특별강연 ‘신체, 자연, 사회: 문화 교차점에서의 지식과 실천의 형성과 변화’가 열렸다. 

Read More
행사사진1(240607)

[아시아이주센터] 이주와 정체성: 동아시아와 그 너머

2024년 6월 7일 오전 10시 20분부터 제4차 대만대글로벌아시아연구센터(NTUGARC)-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공동 국제학술대회를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개최했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240620_poster
230613_poster
PEOPL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는 아시아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국내외 우수학자들의 교류 및 아시아연구소와의 협력을 위하여 방문학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학년도 상반기 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 프로그램 참여 연구진을 소개합니다.

Mehtap Kara_방문

[방문학자] Mehtap Kara

Mehtap Kara is a visiting fellow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sia Center (SNUAC). She received her PhD in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Eastern Mediterranean University and works as an assistant professor at Bahçeşehir Cyprus University. Her articles have appeared in peer-reviewed journals including Southeast European and Black Sea Studies, Turkish Studies, and Uluslararası Iliskiler-International Relations. Kara’s research at the SNUAC focuses on hedging strategies of secondary states including Turkey, India, South Korea in great power competition. Kara’s research fellowship at SNUAC has been funded by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search Council of Türkiye.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Youtube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