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4 SNUAC WEEKLY (12월 넷째 주)
방학 중 WEEKLY는 격주로 발행됩니다.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event_banner-10
FEATURES THIS WEEK
축소_길림성 사회과학원 방문 사진 1

[소식] 중국 지린성 사회과학원 대표단 아시아연구소 방문

12월 4일(수) 중국 지린성 사회과학원에서 부원장을 포함한 6명의 대표단이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 방문하였다.

Read More
축소_동북아센터_동서대 중국연구센터 엠오유 체결 사진 1

[소식]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동서대학교 중국연구센터 MOU 체결

11월 29일(금) 오후 2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는 동서대학교 중국연구센터와 MOU를 체결하였다.
Read More
시민운동의미래는-있는가

[소식] 202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세계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시민사회운동의 미래는 있는가 – 성찰적 비판과 실천적 과제〉가 202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Read More
축소_1734070432826

[소식] 《2024 관악구 주민과 함께 하는 열린강좌: 우리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방법, 아시아 대도시가치조사》 종강

2024년 12월 13일 금요일 《2024 관악구 주민과 함께 하는 열린강좌: 우리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방법, 아시아 대도시가치조사》가 종강하였다.
Read More
ASIA BRIEF
asiabrief_4-38_ver2

2024년 아시아 회고: 중앙아시아의 2024년

                                                      최아영 (서울대학교)

2024년 중앙아시아는 정치적 갈등과 새로운 경제적 기회, 그리고 지역 협력의 진전을 동시에 경험했다. 권위주의 강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으나, 국경 문제 해결을 통해 기후 위기 공동 대응을 비롯한 지역 협력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또한 원자력 발전 도입은 에너지 자립과 탄소 배출 감축의 실질적 해법으로 주목받았으며, 아프가니스탄과의 경제 협력은 남아시아와의 연결성을 강화해 중앙아시아의 전략적 입지를 한층 공고히 했다.

Read More
asiabrief_4-39

2024년 아시아 회고: 남아시아의 2024년

                                                      맹현철 (서울대학교)

2024년은 남아시아 국가에 선거의 해였다. 시간순으로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몰디브, 인도, 스리랑카에서 총선이 열렸다. 각 나라의 국민은 국내외 상황에 따라서 정치적 안정 또는 개혁과 변화를 선택했다. 가까운 중동에서 벌어진 전쟁이 남아시아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인도는 일관적인 경제 정책을 통해서 경제 성장을 지속하려 한다.

Read More
asiabrief_4-40_ver4

2024 아프리카 회고: 아프리카의 2024년과 아시아

                                                      조준화 (서울대학교)
2024년은 국제적으로 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에 대한 관심이 컸던 한 해였다. 글로벌 공급망 경쟁 속에서 한국뿐만 아니라 주요국들이 아프리카와의 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한 다자회의를 열었다. 아프리카 지역의 빈곤과 정치적 불안정성 등 당면한 과제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아프리카자유무역협정(AfCFTA)이 33개 아프리카 국가에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또한, 아프리카 주요국(세네갈, 보츠와나, 모리셔스, 가나, 소말릴랜드)에서 일어난 정권 교체의 결과는 아프리카 내부 변화의 의지를 분명히 보여주었다.

Read More
MEDIA
2024122201002032900125641

[아시아투데이] ‘해외 최초’ 서울대 최고위 과정 in 베트남 1기, ‘주경야독’ 54명 수료

['글로벌 미래전략 최고위과정 in 베트남' 1기 수료식 개최]
Read More
임현진

[매일경제] 나라가 망하지 않는 것이 이상하다

[창립소장 임현진 교수(시민사회 프로그램 디렉터)] 

Read More
2024122201002032900125641

[이코노미사이언스] 서울대, '2024 서울대학교 학술연구교육상ㆍ산학협력상' 시상식 개최

[고길곤 교수(아시아지역정보센터장)] 

Read More

[경향신문] 시리아의 봄은 올 것인가

[구기연 HK연구교수(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서아시아센터)]
Read More
EVENT REVIEWS
축소_DSC00002

[아시아-아프리카센터, 한류연구센터] 서아프리카 음악의 세계적 모험

2024년 12월 6일(금), 서울대 아시아-아프리카센터와 한류연구센터는 성기완 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과 교수를 초청하여 “서아프리카 음악의 세계적 모험”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Read More
축소_241205 행사 캡쳐2

[동북아시아센터] 경계를 넘는 공동체 베이징 저장촌 생활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는 한국사회사학회와 공동 주최로, 2024년 12월 5일 오후 6시부터 8시 30분까지 샹바오 교수(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사회인류학연구소장)가 집필하고 박우 교수(한성대)가 번역한 『경계를 넘는 공동체: 베이징 저장촌 생활사』 에 관한 Book and Book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Read More
축소_사진5

[아시아의지적가치프로그램] 제13회 신(新)자료를 이용한 고대 동아시아의 법률 연구 국제학술회의

2024년 12월 10일 오후 2시, ‘아시아의 지적가치 프로그램’ 주최 국제학술회의 “제13회 신(新)자료를 이용한 고대 동아시아의 법률 연구”가 열렸다. 

Read More
축소_KakaoTalk_20241210_172450411_01

[중앙아시아센터] 러시아의 강제이주 현황과 이주정책의 전망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연구단은 12월 10일 드미트리 폴레타예프 박사를 초청하여 ‘러시아의 강제 이주 현황과 이주 정책의 전망’이라는 주제로 전문가 초청 특강을 개최했다. 

Read More
[꾸미기]KakaoTalk_20241205_163948298_01

[남아시아센터] 불이론 쉬바파의 36원리설 -아비나바굽타의 『탄트라사라』 8장 읽기-

남아시아센터에서는 12월 13일 금요일, 아시아연구소 303호에서 ‘제9회 인도 문헌연구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Read More
[꾸미기]KakaoTalk_20241205_163948298_01

[아시아연구소] 2024 아시아연구소의 아시아연구

아시아연구소는 지난 12월 16일 ‘2024 아시아연구 연례 학술회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지역연구 센터, 주제연구 프로그램,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아시아연구 성과확산, 홍보팀 등 연구소 내 모든 소속 단위가 참여해 각자의 연구 성과와 국내·외 네트워크, 향후 계획을 공유했다.

Read More
축소_KakaoTalk_20241219_204200003_10

[중앙아시아센터] 제1회 학문후속세대 차세대포럼

지난 2024년 12월 19일 목요일, 서울대학교 중앙아시아센터 이주·난민·디아스포라 연구단은 제1회 학문후속세대 포럼을 개최하였다. 

Read More
축소_241220_행사_1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타자의 그림자 / 인도네시아의 아시아주의: 정치철학과 종교성을 중심으로

2024년 12월 20일, 아시아연구소 303호에서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의 김호 선생님과 최경희 선생님을 모시고 HK+ 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비교아시아연구클러스터 워크숍을 개최했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241223_poster
241227_poster
PEOPL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는 아시아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국내외 우수학자들의 교류 및 아시아연구소와의 협력을 위하여 방문학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학년도 하반기 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 프로그램 참여 연구진을 소개합니다.

프로필사진_Siyi Liu

[방문학자] Siyi Cecilia Liu

Siyi Cecilia Liu is a PhD candidate in Geography at the University College London. Her research interests are within digital geography and regional study, funneling down to data mobility and governance and the formation of city-region. Her PhD research works on the production of smart city-region through data sharing in the Greater Bay Area in China. She aims to explore how cross-border data flow mediates the techno-political reordering of the city-region.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Youtube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