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4 SNUAC WEEKLY (12월 넷째 주) 방학 중 WEEKLY는 격주로 발행됩니다. |
 |
12월 4일(수) 중국 지린성 사회과학원에서 부원장을 포함한 6명의 대표단이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 방문하였다.
|
|
|
2024년 아시아 회고: 중앙아시아의 2024년
최아영 (서울대학교) 2024년 중앙아시아는 정치적 갈등과 새로운 경제적 기회, 그리고 지역 협력의 진전을 동시에 경험했다. 권위주의 강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으나, 국경 문제 해결을 통해 기후 위기 공동 대응을 비롯한 지역 협력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또한 원자력 발전 도입은 에너지 자립과 탄소 배출 감축의 실질적 해법으로 주목받았으며, 아프가니스탄과의 경제 협력은 남아시아와의 연결성을 강화해 중앙아시아의 전략적 입지를 한층 공고히 했다.
|
|
|
2024년 아시아 회고: 남아시아의 2024년
맹현철 (서울대학교)
2024년은 남아시아 국가에 선거의 해였다. 시간순으로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몰디브, 인도, 스리랑카에서 총선이 열렸다. 각 나라의 국민은 국내외 상황에 따라서 정치적 안정 또는 개혁과 변화를 선택했다. 가까운 중동에서 벌어진 전쟁이 남아시아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인도는 일관적인 경제 정책을 통해서 경제 성장을 지속하려 한다.
|
|
|
2024 아프리카 회고: 아프리카의 2024년과 아시아
조준화 (서울대학교) 2024년은 국제적으로 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에 대한 관심이 컸던 한 해였다. 글로벌 공급망 경쟁 속에서 한국뿐만 아니라 주요국들이 아프리카와의 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한 다자회의를 열었다. 아프리카 지역의 빈곤과 정치적 불안정성 등 당면한 과제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아프리카자유무역협정(AfCFTA)이 33개 아프리카 국가에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또한, 아프리카 주요국(세네갈, 보츠와나, 모리셔스, 가나, 소말릴랜드)에서 일어난 정권 교체의 결과는 아프리카 내부 변화의 의지를 분명히 보여주었다.
|
|
|
[동북아시아센터] 경계를 넘는 공동체 베이징 저장촌 생활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는 한국사회사학회와 공동 주최로, 2024년 12월 5일 오후 6시부터 8시 30분까지 샹바오 교수(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사회인류학연구소장)가 집필하고 박우 교수(한성대)가 번역한 『경계를 넘는 공동체: 베이징 저장촌 생활사』 에 관한 Book and Book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
|
|
[아시아연구소] 2024 아시아연구소의 아시아연구
아시아연구소는 지난 12월 16일 ‘2024 아시아연구 연례 학술회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지역연구 센터, 주제연구 프로그램,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아시아연구 성과확산, 홍보팀 등 연구소 내 모든 소속 단위가 참여해 각자의 연구 성과와 국내·외 네트워크, 향후 계획을 공유했다.
|
|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는 아시아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국내외 우수학자들의 교류 및 아시아연구소와의 협력을 위하여 방문학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학년도 하반기 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 프로그램 참여 연구진을 소개합니다. |
|
[방문학자] Siyi Cecilia Liu
Siyi Cecilia Liu is a PhD candidate in Geography at the University College London. Her research interests are within digital geography and regional study, funneling down to data mobility and governance and the formation of city-region. Her PhD research works on the production of smart city-region through data sharing in the Greater Bay Area in China. She aims to explore how cross-border data flow mediates the techno-political reordering of the city-region.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