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acweelry-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3 SNUAC WEEKLY (4월 둘째 주)
다양성+Asia 아시아 브리프
 
banner
FEATURES THIS WEEK
thumb_2041357502_qvWSkZyG_1

[월간중앙] 신년특별기획시리즈 -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새로운 미래는 있는가 ④

2023년 현재,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현주소를 알리는 키워드는 ‘연명’(延命)이다. 이 정도로 시민사회운동의 지속가능성은 심각한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나 기업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충분한 자기 기반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급속히 진행한 수탁사업 결과로 불어난 몸집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위로부터 기획된 정책사업에 집중한 나머지 시민사회운동이 끈질기게 집중해야 할 ‘시민성을 갖춘 시민’이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사업에는 소홀했다. 수많은 정부 수탁사업이 냉정한 평가나 성찰 없이 진행됐음을 솔직히 인정하고, 이제는 ‘협치’라는 환상에서 과감하게 벗어나야 한다. 물론 다수의 시민사회운동 단체가 자신의 전문성을 가지고 수평적 파트너십 하에 참여해온 정책사업을 포기하라는 것은 아니다. 능동적 사업 수행자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협치의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다. 

Read More
ASIA BRIEF

특집: 튀르키예 지진(2)
튀르키예 2월 6일 대지진과 5월 14일 대선

‌ 3-18_images01

한하은 (한국외국어대학교)

2023년 2월 6일 현지 시각 새벽 4시 17분, 튀르키예 가지안텝(Gaziantep) 지역을 시작으로 발생한 강도 7.8 및 7.6의 대지진은 동남부 10개 주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피해 면적은 12만㎢에 이르고 피해지역 1,300만 명 주민 중 150만 명이 집을 잃어 이재민이 되었다. 1주일간의 국가 애도 기간이 끝난 2월 13일에는 희생자가 3만 2,000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참사 지역 곳곳의 야외 주차장에 생존자들이 가족들의 시신을 식별할 수 있는 임시 시신안치소가 설치되었다. 튀르키예 내무부 산하 재난관리국(T.C. İçişleri Bakanlığı Afet ve Acil Durum Yönetimi Başkanlığı: AFAD)은 이날부로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시신도 발견 5일 이내에 매장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추정 규모를 튀르키예 국내총생산(GDP)의 10%까지 보았다. 3월 15일에는 희생자가 최소 57,740명에 육박했고 설상가상으로 튀르키예 동남부에 홍수 피해까지 덮쳤다. 전 세계의 이목이 튀르키예를 주목하며, 전쟁 중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포함하여 역사·정치적으로 불편한 그리스와 아르메니아까지 세계 각국의 구호대원 및 구호물품들이 지진 피해자들을 위해 튀르키예로 향하고 있다.

Read More
EVENT REVIEWS

[동북아시아센터] 몽골 국가회복위원회와 이행기 정의

수정1‌

1979년 독일의 밴드 징기스칸이 발매한 노래 <징기스칸>은 발매와 더불어 전세계적인 인기를 얻게 된다. 이 노래는 이내 한국에도 알려졌고, 한국의 가수 조경수는 노래를 번안하여 출시하게 된다. 누구나에게 잘 알려진 이름 징기스칸이었기 때문에, 제목을 달리 정할 필요도 없었다. 그러나 몇 달도 되지 않아 노래는 금지곡이 된다. 표면적으로는 역사적으로 고려를 침략한 사실이 있고 국내 창작 가요를 위축시킨다는 것이 이유였다. 그러나 당시 몽골이 사회주의 국가였다는 사실이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고 많은 이들이 이야기한다. 사회주의 시절 몽골은 베일에 쌓여 있었고, 이후에도 몽골은 여전히 징기스칸의 나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Read More
UPCOMING EVENTS
230410

[아시아연구소] 제4차산업혁명시대의 대한민국 미래전략

일시: 2023년 04월 10일(월) 14:00-15: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210호)

Read More
CAUS 2-7차 콜로퀴엄 포스터_최종

[아시아도시사회센터] 2022 CAUS 콜로퀴엄 시리즈 2-일곱번째

일시: 2023년 04월 11일(화) 14:00-16: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Read More
230421_poster

[아시아-아프리카센터] 2023 4월 서울대 아프리카 세미나

일시: 2023년 04월 21일(금) 12:00-13: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국제회의실(303호)

Read More
230425_poster

[미래지구 프로그램] Mix and Mingle for Future Earth: 쉽게 소통하는 전통지식과 복잡계 사고, 시즌2

일시: 2023년 04월 25일(화) 12:00-13: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4호

Read More
‌
‌
‌
Share this on TwitterShare this on Facebook
You have received this email because you have subscribed t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s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emails please unsubscribe
webversion - unsubscribe - update profile

© 202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