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행사보고 / 포스터 신청

  • 행사 신청 후 변경사항이나 추가사항이 발생하면 작성된 신청글에서 수정하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메일로(jonghong@snu.ac.kr) 수정확인 보내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수정하여 보내드리겠습니다.
  • 학술행사 후기는 작성된 신청글에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진이나 파일은 기존대로 인트라넷에 올려주시면 됩니다.
  • 기존 양식처럼 신청이후 이메일로 확인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확인은 작성한 신청글로 들어가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행사제목제10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2025-03-17 02:27
영문제목The 10th Workshop on Indian Literature Studies
센터/프로그램 남아시아센터
작성자
분류워크샵
RSVP 신청주소https://
일시2025년 3월 28일 18:00 - 20:00
장소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온라인 주소https://
사회자
발표자조석효(경남대학교)
토론자
방문자
참석자 영문이름사회, 발표, 토론, 방문자 모두 기재바랍니다.
공동주최/주관/후원서울대 남아시아센터 & 인도티벳고전연구회 & 전남대학교 호남불교문화연구소
문의처csas@snu.ac.kr
키워드e.g.(지역, 국가, 주제)
Facebook 유료홍보아니오
<제10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 소제목>
니들이 산스크리트어 맛을 알아?: 사끼야 빤디따 뀐가겔첸(Sa skya Paṇḍita Kun dga' rgyal mtshan, 1182-1251)의 샵다(śabda, sgra)와 라사(rasa, nyams) 설명

<워크샵 소개>
이번 워크샵에서 발표자 조석효는 13세기 티벳의 대표적인 인도학자이자 불교학자인 사끼야 빤디따 뀐가겔첸(Sa skya Paṇḍita Kun dga' rgyal mtshan, 1182-1251. 이하, 사뻰)의 여러 저서들의 해당 부분들을 통해, 그가 산스크리트어와 인도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티벳 제학문의 기초를 확립한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을 설명한다.
1) 사뻰의 산스크리트어에 대한 이해와 학문 활동에 있어서 그 필수성에 대한 강조.
2) 사뻰이 최초로 시도했던 단딘(Daṇḍin, Dbyug pa can)의 『시경(詩鏡)』(Kāvyādarśa, Snyan ngag me long) 번역이 이후 티벳학자들의 저술의 운율과 표현 방식에 미친 영향.
3) 그가 연구한 인도의 라사 이론이 이후 티벳 제 예술 해석에 미친 영향.


***
기존 인도 문헌 워크샵 포스터 양식대로 부탁드립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