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행사보고 / 포스터 신청

  • 행사 신청 후 변경사항이나 추가사항이 발생하면 작성된 신청글에서 수정하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메일로(jonghong@snu.ac.kr) 수정확인 보내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수정하여 보내드리겠습니다.
  • 학술행사 후기는 작성된 신청글에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진이나 파일은 기존대로 인트라넷에 올려주시면 됩니다.
  • 기존 양식처럼 신청이후 이메일로 확인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확인은 작성한 신청글로 들어가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행사제목제12회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 - 불교, 의학, 논리학, 문법학, 공예 및 기술: 불교 다섯 학문 전통의 형성과 전개2025-05-13 15:27
영문제목The 12th Workshop on Indian Literature Studies - Buddhism, Medicine, Logic, Grammar, Arts and Technologi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Five Buddhist Scholarly Traditions
센터/프로그램 남아시아센터
작성자
분류워크샵
RSVP 신청주소https://
일시2025년 5월 30일 16:30 - 18:30
장소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303호
온라인 주소https://
사회자강성용(남아시아센터 센터장), 양영순(남아시아센터 선임연구원)
발표자최성호(경남대학교)
토론자
방문자
참석자 영문이름사회, 발표, 토론, 방문자 모두 기재바랍니다.
공동주최/주관/후원
문의처csas@snu.ac.kr/02-880-2868
키워드남아시아, 불교, 유가사지론, 오명처
Facebook 유료홍보
<행사 소개>
다섯 가지 학문(skt. pañcavidyāsthāna, tib. rigs pa’i gnas lnga, ch. 五明處)는 불교수행자가 배워야 할  다섯가지 학문을 의미한다. <유가사지론>이 형성되던 시기인 기원 후 3세기에 이 교육과정이 확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 교육과정은 <숫따니빠따>(Suttanipāta)에 기록된 붓다의 방침에 명백히 위배되는 것이다. 강독회에서는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티벳어 문헌을 발췌하여 읽으며 불교교단 운영방침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변화의 원인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발표자 소개>
발표자 최성호 박사는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독일 뮌헨대학교(LMU)에서 불교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독일 라이프치히대학교 강사를 거쳐 현재 경남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연구교수로 근무 중이다.

***
기존 인도 문헌 연구 워크샵 양식대로 포스터 제작 부탁드립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