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행사보고 / 포스터 신청

  • 행사 신청 후 변경사항이나 추가사항이 발생하면 작성된 신청글에서 수정하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메일로(jonghong@snu.ac.kr) 수정확인 보내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수정하여 보내드리겠습니다.
  • 학술행사 후기는 작성된 신청글에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진이나 파일은 기존대로 인트라넷에 올려주시면 됩니다.
  • 기존 양식처럼 신청이후 이메일로 확인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확인은 작성한 신청글로 들어가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행사제목Iran-U.S. Relations: Historical Background and Future Prospects2025-03-19 14:33
영문제목Iran-U.S. Relations: Historical Background and Future Prospects
센터/프로그램 서아시아센터
작성자
분류콜로키움
RSVP 신청주소https://
일시2025년 4월 21일 16:00 - 18:00
장소아시아연구소 303호
온라인 주소https://
사회자
발표자Siavash Saffari(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토론자
방문자
참석자 영문이름사회, 발표, 토론, 방문자 모두 기재바랍니다.
공동주최/주관/후원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서아시아센터 / HK+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문의처jay262@snu.ac.kr
키워드이란, 미국, 서아시아
Facebook 유료홍보
첨부파일Screenshot 2025-03-07 163017.png (2.36MB)1x-1-2-3-e1532777311907.jpg (267.5KB)
지난 1월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이란-미국 관계에 대한 여러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두 국가의 이전 관계를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이란과 미국은 국제 무대에서 대립하는 사이이지만 둘의 관계가 항상 그러했던 것은 아니다. 현재 미국-이란 간 관계는 1979년 이란 혁명 이후의 발생한 여러 사건들이 누적되면서 형성된 것이며 그 과정에서 표출되었던 일부 이란 대중들의 미국에 대한 분노어린 시선은 혁명 이전 미국-이란 관계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강연은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미국-이란 간 관계의 역사를 개관한 뒤 이를 기반으로 트럼프 행정부 시기 미국-이란 관계에 대해 전망한다.

While there have been many predictions of Iran-U.S. relations since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took office in January, it's worth examining the history of Iran-U.S. relations to make more accurate predictions. Today, the U.S. and Iran are adversaries on the international stage, but this was not always the case. The current Iran-U.S. relationship was shaped by the cumulative effect of events following the 1979 Iranian Revolution, and some of the Iranian public's resentment toward the U.S. has its roots in pre-revolutionary Iran-U.S. relations. This lecture will provide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Iran-U.S. relation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present, and then provide an outlook on Iran-U.S. relations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