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동남아시아 연구

동남아 주요 국가 및 아세안 기구에 관한 국내 연구실태를 전수 조사하고 분석한 국내 최초의 학술서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한국 학계의 연구는 지난 30여 년 사이에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이 책의 저자들은 한국 학계에서 일정 수준의 연구를 축적한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싱가포르, 브루나이, 동티모르 등 11개국과 아세안 관련 연구 실적들을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단행본을 총망라하여 분석하였다.

인문사회과학 중심의 학계를 넘어서 학문분과 전 분야에 걸쳐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학술서적 출판 현황을 집약하고 분류하고 평가한 단행본 출판은 처음이다. 다른 지역에 대한 다양한 지역연구의 경우에도 이런 형식의 단행본은 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현 정부는 신남방정책을 주요 외교전략으로 표방하고 있다. 미중경쟁의 시대에 남방을 중시함으로써 한반도를 둘러싼 새로운 세력균형을 추구한다는 전략이다. 그런데 그런 창의적 전략 추진을 위한 기반이 되는 지식 축적의 지형은 어떠한지 제대로 조사된 바가 없었다.

이 책은 동남아 주요국가에 대한 상당한 정도의 지식이 국내적으로 축적되었다는 사실을 현황으로서 보여 준다. 세부적으로 한국인 전문가들과 학위논문의 목록을 제시하고 있다. 동시에 동남아의 약소국에 대해서는 여전이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도 알려 줌으로써 어떤 지역에 대해 더 연구할 필요가 있는지를 지적한다. 동남아에 관한 우리나라의 지식 축적이 이제 반세기를 지나서 인문사회계를 넘어 이공계 분야까지 확산되고 있고, 동남아 출신 유학생들의 기여 또한 최근에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이다. 반면에 우리 동남아학계는 여전이 인문사회계 중심이고 현지인 유학생들의 업적을 포괄하고 있지 못하는 한계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동남아시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학문 간 대학 간 칸막이 현상을 극복하고 현지인의 국내유학생들까지 아우르는 포괄성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당면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저자 소개

안청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출판위원장.

아시아리뷰 창간 편집위원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장 및 한국정치연구소장,

한국동남아학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장 역임.

 

전제성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정치학 박사).

한국동남아학회 부회장, 편집위원장, 한국동남아연구소 감사 역임.

 

김형준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인류학 박사).

한국동남아학회 편집위원장, 연구위원장, 한국동남아연구소 국제부장 역임.

 

이한우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교수(정치학 박사).

서강대학교 대학원 동남아시아학 협동과정 주임교수 역임.

 

김홍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동남아창의융합학부 교수(정치학 박사).

한국동남아학회장, 한국태국학회장, 한국동남아연구소장 역임.

 

이미지

부산외국어대학교 동남아지역원 HK연구교수(지역연구 박사).

한국동남아연구소 특별연구원, 한국태국학회 섭외이사 역임.

 

정법모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국제개발협력학전공 교수(인류학 박사).

한국동남아학회 국제이사, 한국동남아연구소 연구부장 역임.

 

김형종

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정치학 박사).

한국동남아학회 총무이사, 한국동남아연구소 교육위원장 역임.

 

오윤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정치학 박사).

한국동남아학회 편집위원장, 연구이사 역임.

 

정미경

지역사회경제연구소 부소장(국제통상 및 개발학 박사).

한국아시아학회 국제협력이사 역임.

 

 

차례 소개

 

머리말 / 안청시

 

제1장 한국에서 동남아학계의 형성과 발전 / 전제성

  1. 머리말
  2. 초대학적 연구기관 형성

III. 학문후속세대 육성 전략

  1. 한국의 동남아학계 최근 현황
  2. 맺음말

참고문헌

 

제2장 한국의 인도네시아 연구 / 김형준, 전제성

  1. 머리말
  2. 외적 팽창의 지속

III. 내적 분리의 심화

  1. 맺음말

참고문헌

 

제3장 한국의 베트남 연구 / 이한우

  1. 머리말
  2. 연구방법

III. 베트남 연구의 발전 과정

  1. 최근 연구 경향
  2. 주요 연구 분야 및 쟁점
  3. 맺음말

참고문헌

 

제4장 한국의 태국 연구 / 김홍구, 이미지

  1. 머리말
  2. 국내의 태국 연구 현황

III. 태국 연구의 특징

  1. 맺음말

참고문헌

 

제5장 한국의 필리핀 연구 / 정법모

  1. 머리말
  2. 양적 팽창과 주제의 다변화

III. 인적 교류 확대의 역설

  1. 맺음말

참고문헌

 

제6장 한국의 말레이시아 연구 / 김형종

  1. 머리말
  2. 말레이시아 연구의 현황

III. 말레이시아 연구의 특성

  1. 맺음말: 연구의 확장과 심화의 이중 과제

참고문헌

 

제7장 한국의 미얀마 연구 / 오윤아

  1. 머리말
  2. 연구방법

III. 한국의 미얀마 연구 역사

  1. 연구 경향
  2. 맺음말

참고문헌

 

제8장 한국의 캄보디아 및 라오스 연구 / 정미경

  1. 머리말
  2. 캄보디아 연구 동향

III. 라오스 연구 동향

  1. 맺음말

참고문헌

 

제9장 한국의 아세안 연구 / 김형종

  1. 머리말
  2. 아세안 연구 동향

III. 아세안 연구의 특성

  1. 맺음말: ‘아세안학’의 모색?

참고문헌

 

제10장 한국의 동남아연구 재발견과 학계의 과제 / 전제성

  1. 머리말
  2. 연구의 역사: ‘미지의 시대’ 발굴하기

III. 연구의 축적: 다원적 성장

  1. 연구자 규모: 학계의 포괄성 문제
  2. 맺음말: 학계의 당면과제로서 포괄성 증대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