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지역 간 교류와 연계
아시아의 이동과 연결

전 지구적으로는 세계화가 지체되고는 있지만, 그렇다고 너무 비관적으로 생각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2020년 12월에 중국의 우루무치에서 유럽과 중동으로 떠난 유라시아횡단 고속열차(Trans-Eurasia Express Train)의 수는 2019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2012~2016년 중국에서 유라시아경제연합 소속 국가(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등)를 거쳐 유럽으로의 철도 화물 운송도 매년 2배씩 성장하였다. 아직 절대적인 화물량은 많지 않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만큼 유라시아지역의 통합이 증대되고 있다. 물론 유라시아 대륙을 횡단하는 열차, 상품 운송의 증가만으로 유라시아지역의 연결성 증대, 세계화 증진을 말하기는 어렵다. 이는 지난 30여 년간 유라시아 대륙의 연결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는다(Libman and Vinokurov). 그것이 어떤 형태든 아시아, 유라시아지역에서의 경제, 사회적 상호 연결이 진행되고 있다.

이 책은 아시아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연결과 통합의 움직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네 편의 글은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 아시아의 지역 차원을 대상으로 하고, 두 편은 한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지역과의 교류와 연계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신북방 ㆍ 신남방 정책의 구체적인 대상 국가와 지역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집필진>

김효섭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
박번순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교수
김영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교수
백승훈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전임연구원
이창주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전임강사
최윤정 세종연구소 신남방협력센터장
김영선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
오영일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


목차

story 1 대륙부 아세안의 국경을 넘는다(박번순)
경제통합의 필요조건 육상 교통 연계성
베트남 호치민에서 프놈펜으로
메콩강의 다리들
태국에서 미얀마 남부로 가는 길
대륙부 아세안 인프라 연계의 특징들

story 2 중국의 일대일로와 중앙아 국가의 대응: 경제부흥의 기회인가?(김영진)
중국, 일대일로 구상 추진
일대일로: 인프라 연결이 가장 중요, 그 외 필요한 것은?
일대일로: 중국의 지전략, 정치 ㆍ 경제 이익과 긴밀
중앙아시아: 일대일로에서 중요한 위치
최근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경제 관계 크게 확대
중앙아시아와 일대일로
인프라와 운송회랑 건설 및 지역통합
무역과 투자
금융자원 활용과 금융시장 통합
일대일로에 대한 대응은 중앙아시아 국가별로 상이
중앙아시아에 일대일로는 기회이자 위험

story 3 중국과 중동의 연계 강화: 세계 에너지 구조 변환 속의 지경학(백승훈, 이창주)
미중 대 중동 전략 환경의 변환
중국의 일대일로, 중국의 대 중동 접근 전략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중동의 정세 전환
전환시대의 연계: 확대되는 공동 이익

story 4 일대일로, 인도의 선택은?(최윤정)
일대일로와 중국의 꿈
인도는 왜 일대일로 참여를 거부하는가?
일대일로를 넘을 인도의 세 가지 전략
인도와 손을 잡고 일대일로를 넘어서자

story 5 한-아세안 관계 30주년, 신남방정책의 나아갈 방향은?(김영선)
신남방정책의 의미
관련국의 對아세안정책
인도-태평양 전략과 신남방정책
신남방정책의 성공전략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협력사업
한국의 핵심파트너 아세안

story 6 한-러 극동 협력 성과를 가로막는 요인(오영일)
비즈니스 접근 모델의 한계
다양한 플랫폼 비즈니스 형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한 러시아 극동 농업 경작
존재하나 가동되지 않는 금융 지원 제도
불특정 공통 예산으로는 기대 난망
적극적 예산 집행이 가능한 구조로 전환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