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회 콜로키움 '스마트시티 읽기 세미나' 두 번째

일시: 2019년 11월29일(금) 14:30-18: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406호

Start

2019년 11월 29일 - 2:30 pm

End

2019년 11월 29일 - 6:00 pm

Address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406호

Photo

Review

지난 11월 29일, 아시아도시사회센터는 도시이론연구모임과 공동으로 <스마트시티 읽기 세미나> 두 번째 시간을 가졌다.

김묵한 연구위원(서울연구원)의 <스마트시티 기술-사회 체계 선택의 문제> 에서는, 우리가 원하는 스마트시티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사회 체계를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특히 구글이 참여했던 ‘사이드 워크 토론토’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통해 스마트시티 데이터의 소유자는 과연 누가 되어야 하는지, 데이터 3법 등 스마트시티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에도 별개로 논의되고 있는 제도와 법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다.
.
허정화 연구원(국토문제연구소)의 <스마트도시구축의 참여자들>에서는, 송도와 스마트시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U-City에서 스마트도시로 이어지는 도시 개발 프로젝트의 주요 참여자와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U-City 사업은 초국적 기술기업들이 주도한 반면, 스마트시티는 국토부 등 중앙정부가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 달랐는데요, 최근 스마트시티 개발의 거버넌스가 U-City와 유사한 SPC 중심으로 변화하는 양상이 관찰되기도 했습니다.

홍성호 연구위원(충북연구원)의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한계, 성과 및 제언>에서는 충북혁신도시에서 테마형 특화단지 계획을 수립했던 사례가 소개되었다. 국내 지방자치단체에서 스마트시티를 계획하는 것의 한계로 ‘스마트도시다움’을 제시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계획과 지원 체계에 대한 문제가 제시되었고, 이와 관련해 스마트시티를 정책 목표로 하는 것 자체와 공모제 방식의 거버넌스 구조를 바꾸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고은태 교수(중부대학교)의 <스마트시티와 감시>에서는 감시기계로서의 스마트시티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스마트시티 감시의 특성과 함께 앞으로 논의되어야 할 쟁점들로 과잉감시, 프라이버시, 차별과 배제, 권력, 이윤, 억압 등이 제시되었다. 동시에 도시 문제에 관한 개별적인 사안들이 의제화되지 않고 ‘스마트시티’라는 패키지로 일괄적으로 승인되고 있는 경향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다.

MORE DETAIL

Phone

02-880-2101

Email

caus@snu.ac.kr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