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갈등

신년 특집: 2024 아시아의 회고와 전망(7)
동북아시아의 2023년 회고와 2024년 전망

‘슈퍼 선거의 해’ 2024년은 친미·독립 성향 민진당 후보의 승리로 끝난 대만 총통선거 소식과 함께 시작되었다. 21세기 시작과 더불어 본격화되기 시작한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은 과거 냉전시대 미·소 양 진영의 군사력 위주의 대결 구도와는 사뭇 다른 양상으로, 정치·군사·경제·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전방위적이고 총체적인 지각변동을 일으키며 전개되고 있다. 작년에 10주년을 맞은 중국의 일대일로(BRI) 정책과 미일동맹 주도의 대중포위전략인 인도-태평양(FOIP) 정책 간의 대결 구도는 동아시아 전역에 걸쳐 지정학적 위험을 고조시키고 있다. 동유럽과 중동에서 발발한 전쟁의 연쇄 효과로 동북아시아에도 정치·군사적 긴장 상태가 초래되고 있다. 항존하는 지정학적 갈등과 불안정한 경제상황이 정치적 포퓰리즘과 군사적 긴장과의 화학적 결합을 통해 상승작용을 일으키게 되면 2024년은 동북아시아에도 일촉즉발의 위기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다. 글로벌 복합위기의 시대, 안팎으로 누란지위에 놓여 항상적 과잉반응을 드러내는 북한의 위험을 관리하면서 미·중 간 고래 싸움에 휘둘리지 않고 동북아 균형자로서의 역사적 사명을 수행해 나아갈 한국 정부와 시민사회의 지혜와 결단이 긴요한 때다.

By admin | 아시아 브리프
DETAIL

특집: 2023년 아시아 정세전망(3)
미중 갈등과 신 국제질서

미중 경쟁과 갈등은 바이든 정부 들어 더욱 심화되는 모습이다. 각계의 전문가들은 여기에 수반한 각종 정치·경제·군사적 위기를 경고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힘겨루기는 단기간의 승패로 귀결되기보다는 향후 20~30년간 뚜렷한 승자의 구분이 없는 혼란과 위기의 국제질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정치이념이나 이데올로기, 대의명분보다는 각국이 자신의 국익을 드러내고 추구하는 19세기식 전형적인 현실주의 국제정치의 모습이 재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국면에서 한국과 같은 중견국은 신중하게 위기를 관리하되, 평화와 비핵화를 주도하기 위한 담대한 노력에 나서야 한다.

By admin | 아시아 브리프
DETAIL

특집: 2022년 아시아 정세전망(6)
2022년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아시아 국가의 대응

오늘날 국제통상 분야 최대 화두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대응이 될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과 록다운(Lockdown)으로 국내외에서 부품 조달 차질로 생산설비의 가동이 전면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기업과 정부는 공급망 안정성(Resilience)의 중요성을 새로이 인식하고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의 글로벌 공급망이 지난 수십 년에 걸친 해외직접투자(FDI)와 국내외 산업 연계를 바탕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변경이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더 이상 효율성 위주의 공급망을 유지할 수 없기에 개별 기업은 물론이고 국가적 차원의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중국을 중심으로 한 ‘팩토리 아시아’ 조정 이후 아시아 산업협력을 위해 일본과의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

By admin | 아시아 브리프
DETAIL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