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민주주의발전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난 2016년 촛불혁명을 통해 정권교체를 성공시킨 한국시민사회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분석한 연구서 『한국 시민사회를 새롭게 하라』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세계속의 아시아 연구 시리즈 23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한국시민사회를 새롭게 하라』는 2016년 같은 시리즈 12권으로 발간된 『한국 시민사회를 그리다: 시민사회단체 기초통계 조사』의 후속저작에 해당합니다.

 

전작인 『한국 시민사회를 그리다: 시민사회단체 기초통계 조사』가 한국사회를 바라보는 시민들의 의식을 주기적으로 조사한 정량적 분석의 기록이라면, 이번 『한국 시민사회를 새롭게 하라』는 한국사회 변동의 주요 변동요인의 하나인 시민사회의 역할과 그 변화의 질적인 변화에 대한 정성적인 연구라고 하겠습니다.

 

『한국 시민사회를 새롭게 하라』의 문제의식은 변화하는 시대와 비교된 시민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개인을 둘러싼 문제, 시민사회단체의 조직적 위기, 한국 시민사회의 건강성 유지와 관련한 국가, 정당, 시민사회의 선순환 관계의 문제에서 출발하고 있습니다. 2016년부터 초부터 구성된 6명의 연구팀은 시민사회연구 프로그램을 1년6개월간 진행하였으며, 촛불혁명, 사회적 경제활동, 소셜벤처, 개발협력, 노동, 지역갈등, 인권 분야를 중심으로 한 8편의 논문으로 『한국 시민사회를 새롭게 하라』를 완성 하였습니다.

 

촛불집회 이후 급격하게 변동하고 있는 대한민국 사회에 있어서 시민사회에게 요구되고 있는 질적 전환의 과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대안의 모색을 제시하고 있는 『한국 시민사회를 새롭게 하라』는 기존의 시민활동가 및 정책입안자는 물론 주권자로서의 시민의식을 고양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필수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여는 글   시민사회가 새로워지기 위한 질적 전환 과제                            공석기    5
  • 제1장   변화하는 한국의 시민사회: 과제와 전망                                     임현진    19
  • 제2장   체인지메이커로서의 기업가: 사회혁신 소셜벤처 운동                     김영춘    55
  • 제3장   평화적 시민혁명의 길을 걷다: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새로운 전략      공석기    101
  • 제4장   국제개발 주창자로서 시민사회의 재탄생: 한국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단체의 새로운 역할을 중심으로                                                        김태균    127
  • 제5장   노동을 품는 시민사회, 시민사회로 나아가는 노동                        박명준    177
  • 제6장   주민과 시민 사이: 한국 사회적경제 활동의 약한 고리                    공석기    217
  • 제7장   성주 사례로 본 한국 반기지운동의 현실과 쟁점: 현장성과 투쟁공동체의 진화                                                                                                            정영신    249
  • 제8장   인권운동은 수렴되고 있는가?: 운동 프레임과 실제 사이                 공석기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