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발전모델 프로그램

· 세계화 시대 아시아 자본주의 공통적 특성 연구: 정치체제와 경제성장, 국가주도 자본주의, 유교 · 아시아 자본주의 다양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 비교제도주의 연구, 국가와 시장, 국가와 사회관계 · 아시아 자본주의 발전모델 제시: 아시아 자본주의의 다양한 유형화를 통한 총합적 체계(synthesized framework) 제시

DIRECTOR:

임혜란 교수
아시아 발전모델 프로그램 디렉터 /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시장경제의다양성 #동아시아발전모델의진화 #산업정책 #글로벌공급망과글로벌가치사슬

아시아 발전모델 프로그램은 아시아 자본주의 시스템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이론적,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아시아 발전모델을 유형화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아시아 자본주의의 공통적 제도 및 문화를 논의하며, 비교제도주의 시각을 통해 기업지배구조, 기업 간 관계, 노동, 금융, 복지, 글로벌 가치사슬의 다양한 산업 영역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아시아 자본주의의 다양성을 유형화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아시아 자본주의의 지역적 공통성과 동시에 지역 내 국가별 다양성을 포괄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총합적인 체계(synthesized framework)를 설정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아시아 발전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COVID-19 and Governance: 코로나 팬데믹 위기에 대한 세계 지역별 국가들의 대응 과정을 제도적 관점에서 비교분석
  • 동아시아 발전모델 분석: 발전모델의 기원인 일본, 신흥공업국인 한국과 대만, 동남아의 베트남, 그리고 중국에 초점을 두어 정치·경제적 궤적과 발전모델의 공통적 핵심 요인 파악; 국가기구의 응집성, 관료적 자율성, 국가/사회경제세력 협력, 외부적 힘, 금융시스템의 제도적 유산, 발전 패러다임의 이념
  • 동아시아 발전모델의 지속과 변화 연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과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 대만, 일본, 중국, 베트남의 발전경로 비교분석
  • 아시아 자본주의의 다양성 연구: 국가-사회관계, 정부의 역할, 산업구조, 글로벌 가치사슬 연계 등 아시아 국가별 비교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서유럽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비교정치경제학의 지평 확대
  • 아시아 자본주의 발전모델(레짐) 유형화: 발전적 레짐(한국, 대만, 일본), 유사발전적 레짐(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약탈적 레짐(필리핀, 미얀마, 북한), 재구성된 발전적 레짐(한국, 대만, 일본), 중국(베트남)
  • 김용균·명재석(2022). 2008년 이후 베트남 발전모델의 변화: 혼종성의 내향적 정교화, 아시아리뷰 12(2)
  • 윤상우(202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발전모델의 지속과 변화, 아시아리뷰 12(2)
  • 이왕휘(202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 발전모델의 변화: 반도체 산업정책 사례, 아시아리뷰 12(2)
  • 이승주(2022). 일본 정치경제모델의 연속성과 변화: 발전주의와 후견주의의 동태적 상호작용, 아시아리뷰 12(2)
  • 임혜란·조한나(202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만 발전모델의 변화와 지속, 아시아리뷰 12(2)
  • Pieterse, J. N., Lim, H., & Khondker, H. (Eds.)(2021). <COVID-19 and Governance: Crisis Reveals>. Routledge

아시아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연구소의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청 및 자료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관련 신청서 및 자료실

아시아연구소 오시는 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TOP